관리비 고지서에 담지 못한 정보, 에너지 플랫폼 개발해 소비자에 선봬
다양한 서비스 위해 인증체계 개선, AMI데이터 구매도 할 수 있어야

사회적 기업 투파더가 선보일 예정인 에너지 플랫폼.
사회적 기업 투파더가 선보일 예정인 에너지 플랫폼.

[전기신문 강수진 기자]투파더는 아파트의 전기요금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투파더는 자체 개발한 ‘마이에너지’ 서비스를 통해 동일한 전력사용량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단지 특성에 따라 전기요금이 약 20%까지 차이 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런 문제 때문에 AMI데이터가 필요하다. 전기요금과 AMI데이터의 연관성, 그리고 이를 통해 선보여질 서비스까지 김진성 투파더 대표에게 들어봤다.

김진성 투파더 대표가 전기요금과 AMI데이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진성 투파더 대표가 전기요금과 AMI데이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소비자, 요금 절감보다 관리비 투명성 원해”…에너지 플랫폼으로 보여줘야

“한 달에 한 번 우편함을 통해 전달하는 관리비 고지서에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어 에너지 플랫폼을 개발하게 됐습니다. 전기요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데이터화하고, 소비자 참여와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요소들을 기능으로 구현했습니다.”

김진성 투파더 대표는 관리소장으로 근무할 당시 입주민들이 전기료 절감보다 ‘동일한 전력소비량에 대한 전기요금 차이’와 ‘공동전기요금의 합리적 분배’처럼 건물 관리의 투명성과 관리비 부과의 공정성에 대한 요구가 더 높다는 사실을 알게 돼 사업에 뛰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AMI데이터를 크게 3가지 이유에서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바로 ▲전기 공급의 안정성 ▲소비자의 요금 정책 만족도 ▲데이터 활용을 통한 에너지 서비스 등이다.

김 대표는 “태양광 등 분산에너지원의 증가에 따라 전력소비량을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공급자의 안정적인 전기 공급과 운영을 위한 필수요소다. 또 현재는 한 달에 한 개의 전력 소비 데이터로 누진 구간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지만, 매시간 계측되는 월 720개의 시간 단위 전력 소비 데이터가 확보된다면 누진제 외에 다양한 요금제 설계가 가능해져 소비자의 정책 만족과 가격 신호를 통한 전력수요조절 효과를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기, 가스, 열 등의 AMI 데이터로 개인 생활패턴 특성을 유추하면 건강, 재무, 안전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이 가능하다”며 “여기에, 데이터 3법 이후 기존에 활용 불가능했던 이종 데이터가 결합 돼 훨씬 더 파급력 있는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모델 창출 위해 ‘인증체계·AMI데이터 유통’ 개선돼야

그는 “한전이 계시별 요금제를 통해 월 전력소비량 450kWh 이상인 세대의 전기요금이 10%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전기요금에 대한 가계 부담이 낮게 형성된 상태에서 가격 신호만으로 전력수요를 조절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이러한 요금 제도를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에너지 서비스 모델 개발과 이를 위해 ‘AMI 데이터 유통 플랫폼’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AMI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김 대표는 “에너지 소비 정보가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제3자 정보이용 인증체계 개선과 AMI 데이터 유통 국가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표적으로 올해 5월부터 향후 3년간 170억원의 정부출연금이 지원되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연구과제가 AMI 전력 데이터의 유통과 활용에 중심을 둔 데이터 댐 사업이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AMI데이터 활용에서의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짚었다.

김 대표는 “정부가 그린뉴딜을 강조하면서도 부처와 기관의 이해관계 때문에, 민간에서 에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AMI 데이터를 구매할 수 있는 곳이 전혀 없다”며 “현재 AMI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는 요금정보 알림 서비스 정도인데, 이는 20년 전 기술”이라고 AMI 사업 실태를 꼬집었다.

그러면서 “3년 전 근무하던 관리소의 원격검침 컴퓨터를 카카오톡과 연동해 1분 단위 전기, 수도, 온수, 난방 요금을 입주민에게 활용하도록 한 결과 주민들의 니즈가 없다는 것을 느꼈다. 이는 요금제 설계와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들도 고민해 볼 점”이라고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300원의 보상을 받기 위해, 가정집에서 냉난방 기기를 조절하며 불편함을 감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기존의 경제적 보상을 사회, 환경, 복지 등의 다양한 인센티브로 확장하고, 태양광 에너지 거래 모델과 전기차 충전 및 요금부과 등의 부가서비스와 연계해 플랫폼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