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게 될 ‘제조업 4.0’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전력산업계에서도 중국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려면 이 길밖에 없다는 지적이 새나온다. 4차산업혁명은 2011년 독일로부터 처음 사용하기 시작해 급속도로 발전을 거듭, 인공지능(AI)시대에 이미 접어들었다. 전력산업계 또한 상황은 마찬가지지만 최근에는 비교우위에 있던 중국에 비해서도 산업혁신 속도가 뒤쳐져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얼마 전 경남 창원 전기연구원에서 개최한 ‘전력산업의 중국 대응전력 세미나’에서 안남성 한양대 교수는 “한국이 중국에 앞서가려면 하루빨리 제조업4.0전환이 필요하고 지금단계보다 한단계 앞선 차세대 IOT단계로의 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강욱 인더스마트 대표는 “4차 산업혁명의 요체인 산업구조의 고도화는 한국이 제조업강국으로 가는 필수전략”이라며 융복합 시스템 구성이나 고객의 선택 가능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어 앞으로 이런 문제들을 집합, 대처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축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요망된다.

전기연구원 강종호 부장은 “중국 에너지시장 진출면에서도 걸림돌은 기술력과 규모에서 우위확보를 못했기 때문이어서 정부가 유망기술을 발굴 집중 육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다 중국에 수출을 하려면 2003년 8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CCC(중국강제인증제도)를 획득해야하는데도 이런 제도마저도 정보 공유가 되지 못하는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세미나 참석자들 대부분의 목소리들도 중국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제조업 4.0을 위시한 4차산업혁명 산업구조로 전환하고 동시에 중장기적인 대 중국 전력산업 수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력기기분야는 중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우리나라도 그룹간 빅딜이나 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키우고 AI,빅데이터와 같은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하는 등 4차산업혁명에 발빠르게 대비하면서 제대로 방향을 틀어잡는 것부터 우선해야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