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김광국 기자] “ESG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중장기적으로 꾸준히 산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

지난해 말 본지가 ‘ESG 경영’을 주제로 개최한 ‘신년좌담회’에 참석한 산·학계 전문가들은 향후 전망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제약이 아닌 ‘기회’”라는 말도 덧붙였다. 국가·산업 차원에서 새 성장동력을 찾을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자연스레 ESG가 부상한 것이라는 진단으로, 그간 ESG 경영 도입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여온 국내 산업계에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글자를 조합해 탄생한 단어다. 기업의 친환경 경영·사회적 책임·투명한 지배구조를 뜻하는 말로, 국내에서는 지난해부터 산업현장 일선에서 거론되기 시작했다.

산업계에서 ‘ESG 경영’이라는 단어의 사용이 일상화된 반면 실제 도입 성과는 미진하다. 국내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적용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ESG 키워드에 부합하는 신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한정될 뿐이고, 상대적으로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계의 경우 여전히 ESG 경영을 ‘제약’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강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ESG 경영은 한 차례 산업계를 휩쓸고 갈 ‘태풍’이라기보다는 서서히 산업계를 미래로 나아가게 할 ‘시대적 조류’에 가깝다. 아직 시간은 산업계의 편이다. 하지만 끝내 ESG 경영으로 촉발된 새로운 시대적 조류의 흐름에 올라타지 않을 경우 모처럼 찾아온 ‘기회’는 ‘위기’로 탈바꿈할지도 모를 일이다.

정부는 시행 부처 난립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고 기준·지침 정립에 나서야 한다. 또한, 민간 부문에서도 기업의 중장기적인 지속가능성장을 위해 선제적인 투자에 나서는 등 이행주체 모두가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