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체코, 폴란드 이어 사우디 원전수주 의지 밝혀
원자로 지재권·정보 공개 등 사우디 사업 난항 예상
폴란드, 미국과 적정비율로 사업 참여 가능 전망↑

UAE 바라카원자력발전소 전경.
UAE 바라카원자력발전소 전경.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최근 정부가 사우디 대형원전 수주 의지를 밝히면서 중동지역 원전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일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체코와 폴란드 원전 입찰일정도 예정돼 어느 지역이 수주에 유리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원자력업계는 입찰 일정과 방식 등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 동유럽 국가가 돌발변수가 적기 때문에 수주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13일 원자력업계에 따르면 지난주 사우디를 방문한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대형원전 수주를 위한 정부의 의지를 표명했다.

당시 압둘아지즈 장관은 수출형 원전인 APR1400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는 한편 “석유뿐 아니라 원자력 등 에너지 전 분야에 걸쳐 한국과의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양국이 다목적 소형원전인 SMART 건설과 수출을 모색해 온 이래 대형원전 분야에서도 본격적인 협력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양국은 지난 2015년 SMART 공동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 이어 지난 2020년 SMART의 건설과 수출을 전담할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하는 등 이미 소형원전 분야에서 협력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양국 정부 간 원자력 분야 협력 방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사우디 대형원전을 수주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먼저 사우디 원전 수출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 때문에 어려움을 겪어왔다.원자력업계 한 관계자는 “그간 웨스팅하우스는 APR1400 설계에 미국 소유의 기술이 포함돼 100% 국산 설계가 아니라고 주장해 왔다”며 “이 문제로 양국 사업자 간 악감정이 깊은 상황이라서 사우디 대형원전 사업 진출도 말처럼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문제는 사우디 사업의 특성 상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사우디는 현재까지 입찰 일정과 사업 추진방식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아 사업 참여를 제안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도 사우디 정부가 전체 프로세스를 어느 정도로 공식화할지 가늠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원자력업계는 체코와 폴란드의 수주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체코는 경쟁 입찰 방식을 채택해 한국과 미국, 프랑스의 3파전 양상을 띠고 있다. 반면 폴란드는 미국과 맺은 정부 간 협약에 따라 사업자를 선정한다는 방침으로 한국이 다양한 형태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사안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체코 사업은 경쟁 입찰 방식인데다 사업 진행도 상당히 앞서 나가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 공동진출을 모색하기에는 이미 늦은 상황”이라며 “폴란드 사업은 노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업자가 정해질 가능성이 큰 만큼 한국과 미국, 폴란드 정부 간 3자 협상에 따라 한국이 충분히 적정한 비율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폴란드 신규원전 사업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프랑스 EDF가 사업 제안서를 이미 제출한 가운데, 한수원도 오는 3월 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