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주5일 근무제는 김대중 시절 시행됐지만, 일시적으로 근로자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되기도 했다.

중소기업보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대기업 공기업 등에서 먼저 실시했기 때문이다.

은행으로서는 직원들이 토요일 일하든 쉬든 주요 수익이었던 대출 이자는 그대로였기 때문에 영업이익에는 변함이 없었을 것이다.

IMF를 거치고 경쟁력이 생긴 대기업은 글로벌 스탠다드였던 주5일 근무제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었고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사기업처럼 생산효율을 따지지 않았기 때문에 강행할 수 있었다.

금융권이나 대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로서는 급여가 많았기 때문에 약간 적게 받더라도 쉬는 것을 선호했을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방향은 임금 보전이었다.

그러나 평일보다 눈치가 덜 보이는 토요일 휴가를 내서 관공서나 금융기관을 이용하던 중소기업 직원 입장에서는 금융기관이나 관공서가 운영하지 않는 것은 불편한 일이었다. 무엇보다 토요일 출근했는데 셔터 내린 은행이나 공공기관을 보는 것은 그들의 삶을 슬프게 했다.

기자는 대략 20년 전에 공무원으로 근무한 적이 있다. 토요일 9시에 출근하면 12시에서 오후 1시까지 점심 먹고 퇴근했다. 12시부터 점심시간이지만 식당이 혼잡해서 11시 30분부터 식사를 시작했다. 단지 2시간 30분을 근무하기 위해 출근한다는 것이 비효율적으로 느껴졌다. 토요일 들뜬 분위기에서 제대로 일이 될 리 만무했다.

점심시간 없이 1시까지 근무하거나 점심시간을 가지면 2시까지 근무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느슨한 사회 분위기로 그 정도 편법은 용인되는 분위기였다. 구내식당이 11시 30분부터 운영했기 때문에 일부 직원만의 일탈은 아니었다.

그런데도 지금은 주5일제 근무에 비판하는 사람들은 찾아보기 힘들다. 워라벨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레저산업의 성장 등 단점보다 장점이 훨씬 많았기 때문이다.

최근 여당 대통령 후보가 주4일제 도입을 언급했다.

성공적인 주4일제 도입을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이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이 쉬운 일은 아니다. 급여가 많고 노동강도가 강한 일터는 일자리 나누기라는 긍정적 효과가 나올지도 모른다.

울산의 한 공공기관에서는 서울에서 이전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서울서 출퇴근하는 직원이 있다고 한다.

노동강도가 세지 않은 공공기관에서는 주4일제가 시행되면 원거리 통근 직원이 늘어나고 부업 하는 직원도 늘어날지 모른다.

주 4일제는 느슨했던 토요일 근무를 없앴던 주5일제와는 차원이 다른 문제다.

신고리 56호기는 공론화로 인한 공사 중단과 주52시간제 시행 여파로 완공 시점이 당초 2022년 10월에서 2024년 6월로 20개월이나 미뤄줬다.

중소기업 경영자로서는 주5일제보다 반발이 훨씬 더 심할 것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사회적 불평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소외감을 느낄지 모른다.

섬세하고 배려심 깊은 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