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에너지+분산형 자원 역할 ‘톡톡

서울 목동의 한 집단에너지시설.(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서울 목동의 한 집단에너지시설.(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전기신문 정재원 기자]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과거처럼 대규모발전소에서 수요지 인근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아닌 수요지와 공급지를 맞추고 거리를 최소화하는 방식인 분산에너지 위주 방식이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다. 집단에너지는 그중에서도 중간다리 역할을 할 최적의 자원으로 평가받는다.

열과 전기를 동시에 만드는 집단에너지는 ‘팔방미인’으로 꼽힌다. 집단에너지는 열병합발전소, 소각로 등 에너지 생산 시설에서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해 판매하는 것으로 집단화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에너지 공급 사업이다. 에너지 효율은 일반 LNG 발전에 비해 높고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 배출을 낮추기 때문에 친환경 에너지자원이다.

최근에는 분산형 자원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수요지와 공급지가 같은 만큼 송전선로 확충이 따로 필요하지 않아 건설을 위한 주민과의 갈등 등 사회적 비용이 크게 들어가지 않는다. 장거리 송전으로 인한 전력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런 장점으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1995년 24개에 불과했던 집단에너지 사업자 수는 2019년 82개까지 늘어났고 열 공급은 1만1091Gcal/h에서 4만9015Gcal/h로 전기는 4840MW에서 1만4070MW으로 늘어났다.

외국의 경우 국내보다 집단에너지의 역할이 큰 편이다. 연료 사용량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 친환경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EU 28개국의 열병합발전 비중은 11%로 덴마크(39.4%), 핀란드(31.8%) 등 북유럽 국가의 비중이 높다. 특히 덴마크는 전체 난방의 65%가 분산형 지역난방이며 수도 코펜하겐은 지역난방의 98%를 열병합발전이 차지하고 있다. 핀란드는 165개 지방자치단체 중 105개 지역에 열병합발전소가 있고 전기 생산량의 30% 이상은 이를 통해 얻어 낸다. 독일은 열병합발전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며 에너지의 20%가량을 열병합발전을 통해 얻어 내고 있다.

국내에서도 현재 집단에너지를 중심으로 분산에너지를 활성화,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다만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한난을 기준으로 요금체계가 맞춰져 있어 소규모 사업자들이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세계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원료비마저 올라 내년에는 대다수 집단에너지 사업자들의 큰 적자가 예상된다.

따라서 산업부가 지난 6월 발표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통해 하루빨리 지원방안을 구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 6월말 ‘지역난방 집단에너지 등 분산편익에 대한 인센티브를 구축하겠다’며 분산편익을 공표한 바 있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설비용량 500MW 이하의 지역난방 열병합발전설비에 대해 전력판매량, 계통투자 회피규모, 발전효율 등을 고려해 편익을 지원해주겠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장 요금체계를 건드리기 어렵다면 분산에너지활성화법 통과를 통해 분산편익 제공 근거를 마련하는 등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전력 계통 영향평가까지 도입돼 계통 인센티브가 생긴다면 기존 사업자들의 누적된 적자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