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구축
자율주행차·UAM 활성화 기반 마련
통합 안전 관리체계 구축·실내 측위 시스템 도입

도로상태 관리시스템.
도로상태 관리시스템.

[전기신문 오철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도심항공 도입이 가능한 지능형교통체계 인프라를 구축하고 스마트 교통서비스 제공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하는 중장기 계획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지능형교통체계(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는 자동차, 도로와 같은 교통수단, 시설에 첨단기술을 적용해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교통 안전을 증진하는 교통체계를 말한다.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른 10년 단위 법정 계획이다.

기존 지능형교통체계가 교통시설이 자동차 등 교통수단 운행 정보를 수집한 후 이용자에게 일방향적 전달을 하는 데 그쳤다면 앞으로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교통시설과 수단 간 복합적, 쌍방향적 소통을 통해 실시간 수집·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는 동시에 교통 서비스의 활용도와 효율성을 증진하는 것에 주력했다.

국토부는 우선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등 새로운 교통수단의 원활한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2027년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에 대비해 올해부터 전국 주요 도로에 C-ITS 통신과 V2X 보안인증체계를 구축해 자율주행차의 원활한 운행을 지원한다. C-ITS는 주행 중인 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시설과 각종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다.

또한 UAM의 탑승시설 구조와 제반설비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고 도심 내 안전한 운용과 효율적 운항을 위해 도심 3차원 지도를 구축해 UAM의 본격 활용을 준비한다.

주요 교통시설에서의 교통안전 강화를 위해 사전·사후 통합 안전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인공지능으로 역주행 등 돌발상황을 감지하는 스마트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을 주요 구간에 확대하고 실시간 노면상태(결빙 등) 및 장애물(낙석 등)을 검지해 운전자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상태 관리시스템 등을 구축해 도로교통 안전을 강화한다.

또한 철도건널목 교통흐름을 판단하고 위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는 전자식 경보시스템을 도입하고 인접 도로 교통신호와의 연계체계를 마련한다. 2025년까지 교통량이 많은 200개소에 스마트 철도건널목을 우선 구축한다.

실내, 지하 등의 위치에서 이용자 행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내 측위 시스템도 2023년까지 개발한다.

인공지능 기반으로 집에서부터 공항 탑승구까지의 최적 이동 경로 등을 모바일로 제공하는 맞춤형 가상비서 서비스를 구현하고 자율·추종주행기반 여객 짐운반 카트로봇 도입을 확대한다.

ODA 사업과 연계해 철도 운행·안전관리 기술의 해외수출과 지능형해상교통정보서비스 등 해양 디지털 기술 관련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등도 돕기로 했다.

안석환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은 “국민들이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보다 더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체계가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며 “국민들이 상상했던 첨단 교통체계가 실현될 수 있도록 기본계획 상의 세부과제들을 분야별로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