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시장의 변화와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방안’ 세미나

박창민 그리드위즈 전무가 ‘전력망 변화에 따른 운영 및 제어기술과 유연성 서비스 제공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박창민 그리드위즈 전무가 ‘전력망 변화에 따른 운영 및 제어기술과 유연성 서비스 제공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전기신문 정재원 기자]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력시장의 변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분산에너지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안정적 전력계통 방안을 마련해야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9일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 개최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력시장의 변화와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방안’에서는 점차 증가하는 분산에너지의 활용방안과 이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전력시장의 변화에 따른 제도 개선 및 효율적 운영과 분산에너지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박종배 건국대학교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폭염, 한파 등 이상기후가 늘어나 전력시장과 계통이 영향을 받고 있고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요구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기존 화력발전 유연성에도 한계가 생기기 때문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양수발전 등 추가 유연성 자원의 필요성이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박 교수는 기존 전력시장 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과거 원전과 석탄 등 공급자 중심의 계획은 이제 송전설비 건설 갈등 등으로 지속하기 어려워졌다”며 “낮은 전기요금으로 전체 수요는 올라갔지만 이로 인해 신재생의 비율은 극단적으로 낮아졌고 신산업 육성 저하, 수요관리 실패로 이어졌다. 따라서 발전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은 점점 증가하는 등 후진적인 시스템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결국 탄소중립 트렌드의 맞춰 악순환의 꼬리를 끊어야 한다는 것이 박 교수의 주장이다.

박 교수는 실시간 시장제도와 보조서비스 시장 도입 등을 주장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해서 실시간 시장을 도입하고 가격경쟁의 효율성을 위해 가격입찰 제도 등을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며 “DR과 ESS, 가상발전소(VPP) 등 참여자원이 시장에 들어오는 보조서비스 시장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력계통 안정을 위한 주장은 계속됐다. 김응상 한국전기연구원 박사는 “재생에너지 확산을 대비해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며 여러 방안을 제시했다.

김 박사는 “재생에너지 수용을 늘리기 위해 예측, 제어 기술을 고도화하고 송변전선 여유도 확보해야 한다”며 “유연성을 위해 ESS 최적 구성 계획 등을 수립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AC-DC 복합망을 구성하는 등 전력계통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간시장 관계자들은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시스템 구축방안을 설명했다.

김유창 솔라커넥트 팀장은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강조했다. 김 팀장은 “우리나라는 아직 높은 수준의 재생에너지 발전단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융모델이나 가상발전소 등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김 팀장은 그리드 운영사업 플랫폼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 테슬라의 경우 현재 1~2만 가정의 PV, ESS, V2G 등을 모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시장에 들어오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나중에 ESS와 수요자원 등을 VPP 자원에 활용하게 되고 관련 제어기술도 갖춘다면 시장은 활성화되고 전력수급 불안정 문제해결,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창민 그리드위즈 전무는 “현재 제주도는 분산에너지자원이 14% 정도인데 풍력발전, 태양광발전이 멈추는 등 출력제어와 계통 문제가 심각하다”며 “송배전망을 건드리지 않고도 신재생에너지발전예측, ESS, 전기차 충전 제어 등의 기술을 민간시장에서 잘 활용할 수 있다면 계통불안정 요소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