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보빈의 렌털 제도 도입
ESG 경영 실천 뿐 아니라 원가절감 효과도 기대돼

김용석 보빈뱅크 대표.
김용석 보빈뱅크 대표.

[전기신문 양진영 기자]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의미하는 ‘ESG’는 기업이 지속가능경영을 추구하는 데 가장 핵심인 요소로 최근 산업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다.

환경분야는 중소기업이 ESG를 실천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자금력의 한계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기도 쉽지 않고, 친환경 자재를 구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전선업계에서는 그나마 플라스틱 소재인 PP(polypropylene)를 사용하는 ‘PP케이블’이 친환경 제품으로 분류되지만 생산설비가 비싸고 당장 수요도 많지 않아 이를 개발한 업체는 몇 곳 안 된다.

이러한 가운데 보빈뱅크(대표 김용석)가 지난달 말 한국전선공업협동조합(이사장 홍성규)과 체결한 ‘보빈 공유 순환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이 주목받고 있다.

100%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보빈(드럼, 전선을 감는 포장재)’을 렌털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협약의 주요 골자로 중소 전선업체들이 비교적 쉽게 환경보호에 동참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김용석 보빈뱅크 대표는 “최근 ESG 경영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친환경 경영의 혜택과 정보, 자원 부족 등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은 누군가 대신 나서주길 바라는 분위기”라며 “전선조합과 맺은 업무협약은 이 같은 니즈를 해소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보빈은 나무 보빈보다 내구성이 높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보빈뱅크는 렌털 제도를 통해 고객이 나무 보빈보다 낮은 가격에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여기에 이번 사업의 핵심인 스마트 물류를 도입, 보빈의 상태와 이동 경로를 고객이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보빈뱅크가 카카오 출신의 IT 전문가를 영입한 이유다.

김 대표가 렌털 시스템의 핵심으로 꼽는 것은 ‘공급’과 ‘회수’다. 김 대표는 지역 내 차량을 공유하는 카쉐어링(차량공유)처럼 고객이 자신의 지역 내 보빈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주문해 쓸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국내 대형 통신사 한 곳도 이 같은 보빈뱅크의 아이디어를 높게 평가하고 협적극적으로 협업을 검토하고 있다.

김 대표는 “보빈의 안정적인 공급과 회수는 전선 생산에도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라며 “보빈뱅크의 스마트 물류는 전선업체가 보빈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거래처에 납품 이후 생산품의 정보를 공급할 수 있어 영업 면에서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세계적으로 탈탄소, 친환경 경영이 가속화되는 만큼 앞으로 플라스틱 보빈의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나무 보빈의 경우 벌목 과정에서 살림 파괴가 일어날 수밖에 없고 재활용도 어려운 만큼 100%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보빈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질 것”이라며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팔레트가 나무에서 플라스틱으로 바뀌는 것도 같은 이슈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나무 보빈의 경우 썩거나 물이 들어가 얼고, 더워서 갈라지기 때문에 방수제, 발수제, 페인트 등을 발라야 오래 쓸 수 있다”며 “이 같은 약품들이 빗물에 녹아서 강에 내려가기도 하고 태울 때 많은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며, 땅에 묻어도 토지오염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친환경 실천을 위해 ESG와 별도로 GR인증의 보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국가기관, 공기업 등의 사업만 GR인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해당 범위가 확대되고 좀 더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며 “보빈뱅크의 비즈니스가 활성화되면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자원 재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제안을 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단기적으로 전선조합과의 업무협약을 충실히 이행하고 전선업계 내의 물자를 재활용하며 저변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재활용 포장재의 니즈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전선 외 다른 산업에도 재활용 플라스틱 포장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려 한다.

김 대표는 “단순한 플라스틱 보빈 공식 지정업체가 아니라, 전선조합과 수익사업을 구축하는 동반성장 모델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