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여기봉 기자] 영농형태양광발전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의 중장기전략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전략의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재생에너지에는 여러 방식이 있지만 대단위의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 태양광발전이 대표적인 대안이다. 특히 태양광발전은 기존의 농촌형, 임야형 태양광에서 영농형 태양광이 새로운 대안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농지법 등 제도 개선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최근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2050탄소중립위원회는 최근 2050년까지의 탄소중립 추진 시나리오 초안을 제시했다. 2050년까지 화석연료는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는 최대 70%까지 늘리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날 공개한 시나리오 초안에 대해 9월까지 폭넓은 의견수렴을 진행해 10월말쯤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 중장기 시나리오의 성공 열쇠는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 공백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매울 수 있는가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태양광발전의 보급 확대는 필수적인 과제다. 태양광은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기존의 임야, 옥상, 건물 벽 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농지가 새롭게 주목된다. 농지는 햇빛이 잘 드는 곳이니 태양광발전에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식량안보와 농업에 미칠 악영향, 즉 수확물 감소 등을 고려한다면 농업과 발전이 상생하는 방향을 잡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농가 소득을 올리고 농지를 유지하며, 수확량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영농형 태양광의 상용화가 진행돼야 한다.

최근 2~3년동안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세계적으로도 그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영농형태양광은 농가 소득을 크게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받기도 한다. 문제는 태양광발전 수익을 농민, 지역주민, 지주, 태양광사업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공유하는 시장시스템이 아직 정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농지법을 비롯한 관련 제도 개선이 논의되고 있다. 앞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도 적지 않지만 영농형 태양광 상용화 논의는 더욱 구체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