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누가 되든 건설 재개 불가피’ 전망
원전 전문가 “원전산업 붕괴 막고 공론화 거쳐 공사 재개 방안 찾으려 할 것”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 2호기 건설 현장.(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 2호기 건설 현장.(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현 정권의 탈원전 정책으로 공사 중단 상태인 신한울 3·4호기의 건설 재개 여부 및 시점에 대한 지역 원전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원전산업의 '뜨거운 감자'인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거세지면서, 지역에서는 신고리 5·6호기와 같은 공론화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차기 대통령에 누가 당선되든, 대선 이후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여야 정치권 모두 원전산업과 여러 측면에서 이해 관계가 얽혀 있다는 이유에서다.

8일 원전업계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제20대 대통령 더불어민주당 유력후보인 이재명 후원회 공동회장을 했던 이홍구 전 한국소프트웨어산업 회장이 지난해 3월 ㈜수산아이앤티의 공동대표로 취임했다. 수산아이앤티의 관계사인 ㈜수산ENS와 (주)수산인더스트리는 원자력 발전 계측 제어시스템, 발전 정비 및 시공을 하는 원전업체들이다.

수산그룹의 오너이며 수산중공업, 수산인더스트리, 수산ENS의 대표인 정석현 회장은 여권의 유력 대선 후보인 정세균 전 총리와 압해정씨 종친으로 알려졌으며 수산중공업은 정세균 정치테마주로 꼽힌다.

이낙연 전 총리는 최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탈원전 비판에 "에너지 정책에 대한 몰이해가 우려된다"며 반박했지만, 전문가들은 이 전 총리가 원전에 우호적이지는 않지만,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가 영광군으로 이해의 폭이 넓으며 정치 스타일상 경북 울진의 여론을 외면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원전 전문가들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긍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2월 발전사업 허가가 취소될 위기에 처했지만, 2023년 말까지 공사계획인가 기간이 연장되면서 생명선을 가까스로 유지하게 된 신한울 3·4호기는 국내 원전산업 생태계의 바로미터로, 공사 재개되지 못하면, 국내 원전산업은 회복 불가 상태에 이른다.

신한울 3·4호기는 2017년 10월 '탈원전 로드맵'에서 백지화됐다. 하지만 이후 행정조치는 전무한 상태. 발전사업 허가를 득한데다, 사업 추진을 위한 일부 비용이 집행됐기 때문이다.

한 원전 전문가는 "이번 대선 정국에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는 한국 원전산업 생태계 유지를 놓고 집중적인 검토가 이뤄질 "것이라며 "여야 후보들은 누구든지 원전산업 붕괴를 막고 우리나라 기간산업 유지를 위해서 신고리 5·6호기 때처럼 공론화를 거쳐서라도 신한울 3·4호기 공사를 재개하는 방안을 찾으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경북 영덕의 천지 1·2호기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렸다.

이미 정부에서 천지 1·2호기 건설부지에 대해 원전 예정구역 지정 고시해제에 통보했으며. 한수원에서 부지를 판매했던 주민들을 대상으로 환매 절차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19% 정도 부지 보상이 끝난 상태에서 환매 절차가 진행 중이며 보상금을 사용해 환매 절차에 응하지 않는 부지는 공매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지역 민심이 백지화한 상태에서 다시 원전 건설에 들어간다면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경북도청 관계자 역시 ”여론조사를 하지 않아 정확한 민심 파악은 힘들지만 백지화했는데 다시 원전을 건설한다면 불쾌하게 생각할 주민이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원전에 우호적인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신한울 3·4호기 이후 한국에서 원전을 더 짓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도 나오고 있다.

지역의 원전 전문가 김모씨는 ”전기차 등 전기 수요가 급증해 원전 추가 건설의 필요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의 현실에서 원전을 더 짓기보다는 가동 중인 원전의 수명연장이 더 낫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 보상 문제도 만만치 않지만, 주민 설득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