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오철 기자] 최근 2년간 뼈를 깎으며 제도를 강화해 온 수요관리 거래시장(DR)에 또다시 위기가 왔다. 한국전력이 신뢰성 강화를 이유로 DR 제도 강화 방안을 정부에 제출한 것이다.

한전 주장의 핵심은 미국 전력회사 PJM처럼 RRMSE를 20%로 맞추자는 것이다. 거기서 벤치 마크해 수립한 제도인데 왜 RRMSE가 다르냐는 거다. 정산금을 지급하는 한전으로서는 해볼 만한 의견이라고 본다.

사실 DR 시장에 한전의 목소리가 잘 반영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한전이 전력거래소에 DR을 내주고도 전력판매사업자로서 매달 기본급과 실적금을 지급하는데 신뢰성 DR 발령이 한 번도 없다면 한전에서 보기에는 생돈 나가는 기분이었을지도 모른다. 또 어차피 공장 생산 설비가 안 돌아 쉴 텐데 경제성 DR이라고 해서 돈까지 받아가는 DR 시장이 얄미웠을 수도 있다. 근데 이건 일반인의 시각이지 한전의 시각이면 안 된다.

그리고 더이상 DR 시장은 국정감사 단골 ‘동네북’이었던 그때의 DR이 아니다. 일곱 번째 시즌을 보내면서 지속적인 코어운동으로 식스팩을 단단하게 만들었다. 매년 하계·동계 전력수급계획에 4GW 이상씩 전력피크 대비책으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제성 DR로 연간 286억원에 달하는 SMP 하락 및 전력구입비 절감 효과도 보여줬다.

무엇보다 신뢰성 강화에서 꼬투리를 잡은 것이 문제다. 매년 경제성 DR 감축 이행률은 100%를 넘고 있다. RRMSE는 본선에 들어서기 전 예선단계에서 어느 정도 수준을 갖춘 선수만 받겠다는 일종의 점검 수단인데 이미 세계선수권 제패하고 올림픽에서 금메달 따고 있는 실력인데 수준(신뢰성) 강화가 무슨 의미가 있으랴 싶다.

마지막으로 DR도 시장이다.

20%는 너무 타이트하다. 어느 정도 RRMSE 오차율이 있어야 시장이 돌아간다. 전력비 절감 효과는 이미 증명됐지 않나. 전력수급 안정화와 그에 대한 총체적 비용 감축을 고려한 거시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