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2020년 상장사 재무제표 분석’ 발표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상장사 매출액 추이(왼쪽)와 상장사 영업이익 추이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상장사 매출액 추이(왼쪽)와 상장사 영업이익 추이

[전기신문 김광국 기자] 2020년 코로나19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거둔 성적표는 기업규모별, 업종별로 뚜렷이 명암이 갈렸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코스피 및 코스닥 비금융 상장 기업 11017개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상장사 영업이익이 24.9% 증가했음에도 상장사 4개 중 1개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상·하위 20% 기업 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격차가 확대된 가운데 업종별로도 의료·제약, 전기·전자 등 코로나 수혜업종과 유통 및 대면서비스 등 피해업종의 명암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영업이익이 증가한 업종 내에서도 상위 3개 기업이 업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상장사 실적이 양호해 보이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들은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라며 “기업활력 제고를 위해 규제개혁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076조1000억원으로 2019년 1093조원 보다 16조9000억원(1.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19년 53조9000억원 보다 24.9% 증가한 67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9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데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 반사이익을 누렸던 반도체, 가전 등 주력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이다.

영업이익 증가가 코로나 수혜업종과 일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업 간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장사 매출액 5분위 배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됐다.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이익 차이도 2019년 2386억원에서 2020년 3060억200만원으로 674억2000만원(28.3%) 늘어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기업의 수는 2019년 249개에서 2020년 255개로 6개 늘어났다. 이는 상장기업의 25.1%에 해당한다.

K자형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 진단키트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지난해 의료·제약업종은 영업이익이 2019년 대비 125.7% 급증했다. ▲전기·전자(64.0%) ▲음식료(27.4%) ▲소프트웨어·인터넷·방송서비스(18.6%) 등 비대면화 수혜 업종의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반면 ▲유통 및 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철강·금속(-37.8%) ▲화학(-27.1%) 등 전통 제조업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019년에 비해 줄어들었다.

2020년 상장사 종업원 수는 108만명으로 2019년 109만1000명 대비 1만1000명 줄었다. ▲화학 -6665명(-7.5%) ▲유통 및 대면서비스 -5794명(-6.0%) 등 영업이익이 줄어든 업종에서 종업원 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또 ▲SW·인터넷·방송서비스 -2129명(-3.9%) ▲통신 -1106명(-2.6%) ▲음식료 -1012명(-2.1%) 등은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에도 종업원 수가 오히려 감소했다.

업종 내에서도 기업 간 쏠림현상이 뚜렷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10% 이상 증가한 7개 업종(‘기타’ 업종 제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각 업종별 영업이익 증가분 중 상위 3개사의 비중이 62.7%에서 최대 191.8%까지 나타났다.

전기·전자 업종에서는 기업 수 기준 1.9%에 불과한 상위 3개사의 영업이익 증가분이 ‘업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의 91.0%를 차지했다. ▲운수·창고 (상위 3개사 비중 191.8%) ▲비금속(상위 3개사 비중 175.0%)은 상위 3개사를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오히려 줄어들 정도로 업종 내 양극화가 심각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