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윤재현 기자]“원전 사고 때 피해를 보는 이는 부산 사람입니다.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중앙에서 결정할 수 있지만 사고가 발생해 피해를 보는 부산시가 논의 구조에 참여하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이것이 어떻게 지역이기주의라고 할 수 있습니까?”

4월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경선에 출사표를 던진 변성완 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행정의 연속성을 이루기 위해 본인이 당선돼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했다.

부산시청에서 정책기획실장, 기획관리실장을 역임하고 행정부시장을 지낸 이력으로 산적한 현안을 침착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라는 논리다. 특히 고리ㆍ새울 원자력 본부가 소재한 부산시는 원자력 정책 하나하나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변성완 후보는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을 지지하면서 환경친화적인 안전 에너지 정책을 부산시에 이식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에 부산의 원전 관련 중소기업들이 힘들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방향성은 맞다. 서울시 한복판에 원전을 짓는다고 가정해보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될 것이다. 부산은 원전 밀집이라 이런 위험한 지역에선 탈원전이라는 정책 방향은 훨씬 더 타당하다. 원전 자체도 탄소 배출을 하지 않는 게 아니다. 건설할 때 배출한다. 그래서 수소 경제로 가는 게 맞다.”

▶인근 울산·창원과 비교해 부산은 수소 관련 활동이 보이지를 않는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울산·창원과 비교해 위축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부산은 항만을 낀 도시다. 수소 항만이라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부산 미세먼지 원인은 자동차가 아니라 항만이다. 정박 중인 화물선이 벙커C유를 사용하는 쓰는데 공회전으로 인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항만 자체를 수소 항만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해양수산부에 육상전원공급설비(AMP)를 요청해서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AMP 설치에는 돈이 많이 든다.”

▶청사포에서 추진 중인 해상풍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구청장이 반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시가 관여할 권한은 없다. 주민 의견이 제일 중요하다. 주민이 수용하지 않으면 정책 추진하기 어렵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합리적 방향이 필요하다.”

▶정부에서 원전해체를 추진하고 있다. (원전) 건설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개념이 다르다. 건설 산업이 죽었으니 해체 산업을 추진하자는 개념이 아니다. 건설은 건설이고 해체는 해체다. 폐로 대상인 고리1호기가 부산에 있고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에 걸쳐있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도 같은 맥락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산업 측면에서 베이스는 돼 있다.”

▶원자력은 국가 사무인데 오거돈 전 시장이 부산에서 관여하겠다고 해 갈등이 있었다. 일본은 지자체가 권한이 있는데 한국은 그렇지 못하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원전 사고 때 피해 보는 사람 누군가? 부산사람이다.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중앙에서 알아서 할 일이지만 사고가 안 나나? 일본 후쿠시마도 사고 났고 한국도 지난해 태풍으로 문제가 됐다. 피해 보는 사람이 논의 구조에 참여하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 구성에 지자체 참여 요청했는데 반대에 직면했다. 지역이기주의가 아니다.”

▶당선되면 부산의 에너지 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정부 에너지 정책에 보조를 맞춰야 한다. 탄소 제로 정책과 관련해 우리 시에서도 많은 정책을 했다. 에너지전환은 세 가지가 핵심이다. ▲그린아파트 탄소 제로 ▲콘센트 뽑기 운동 ▲전기 절약하고 불 끄기다. 올해는 탄소포인트 관련해서 자동차 쪽으로 넓혔다. 시행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주행거리를 고려해서 포인트를 점수화하는 것이다. 그린마을 조성사업, 마을 전체가 공동주택도 되고 에너지 절감 목표를 세운다. 주민의 적극적 동참이 전제돼야 한다. 산업적으로도 마찬가지다. 지원책이 따라가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