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윤정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됨에 따라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또한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19 종식 이후 각국의 경제활동이 기지개를 켜면 “신흥국, 선진국 순으로 경제가 회복되면서 자연스럽게 인플레이션이 촉발할 것”(모건스탠리)이라는 분석과 “각국이 천문학적인 자금을 풀었음에도 유동성 함정(유동성이 기업투자나 가계소비로까지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에 빠져 잠잠했던 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종식 이후 금리인상, 원자재가격 상승 등을 초래할 것”(손성원 로욜라메리마운트대 교수 겸 SS이코노믹스 대표)이라는 전망은 국내 기업이 반드시 곱씹어봐야 할 대목이다.

통상 인플레이션은 정부의 기준금리 인상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부동산 시장에도, 주식시장에서도 악재다. 금리인상은 기업과 가계의 이자부담을 키우고, 이는 업체의 재무제표에도 그래도 반영된다.

또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 원자재가격 상승, 수출가격 인상, 기업들의 생산활동 둔화, 실물경제 침체, 주가하락과 환율상승 등으로 이어져 경영활동을 피폐하게 만든다.

실제 최근의 원자재가격 상승 움직임은 심상치가 않다. 1월 25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거래된 전기동 가격은 톤당 8003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11달러나 상승했다. 알루미늄도 전 거래일 대비 27달러 상승한 2027달러를 기록했다.

원자재가격 급등은 중국의 건설붐, 각국의 재정부양책과 함께 코로나19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만들어낸 결과로 보는 게 맞다.

이 부담은 고스란히 기업들이 떠안아야 할 몫이다. 상승한 원가가 곧바로 제품가격에 반영되는 산업생태계라면 좋겠지만 국내 제조업, 특히 전기업계와 시공, 건설자재 업계는 그렇지 못한 시장구조를 갖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시장에 풀린 풍부한 유동성은 역설적으로 현재 시장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 역병의 상황이 끝나고 나면 후폭풍의 여파가 얼마나 클지 가늠조차 할 수 없다.

지난해 12월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자본시장연구원 심포지엄에서 “코로나19가 일단락된 뒤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잠재 부실이 현재화되는 절벽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선제적인 기업구조조정의 필요성을 내비쳤다.

‘포스트 코로나’를 논하는 현재 기업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바로 ‘인플레이션의 함정’을 어떻게 빠져나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일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