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플라이체인(공급망) 강화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 국내 산업계가 대·중견기업-중소기업의 수직적인 공급망을 토대로 성장해왔기 때문에 이들간의 연계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재신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회장

“독일·일본 등 소부장 산업이 활성화된 선진국은 대·중견기업-중소기업이 연계돼 상생하는 문화가 정착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소부장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장승국 소부장 강소기업100 협의회장(비츠로셀 대표)

현 정부 들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의 수출규제로촉발된 부실한 산업 생태계에 대한 문제 인식은 정책화 과정을 거쳐, 이제 국가 경제를 선도할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 잡은 모양새다.

반면 소부장 산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꼽혀온 ‘연계성 부족’에 대한 지적은 여전하다. 최근 취재 차 만난 소부장 산업계 전문가들은 “한국 산업계가 지금의 기회를 살려 진일보하기 위해서는 대·중견기업-중소기업의 연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만큼 국내 산업계의 연계성이 약화돼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반증이다.

정부는 지난 18일 새해 소부장 산업 육성을 위한 R&D 예산으로 전년 대비 13.14% 증액한 27조4000억원을 편성, 관련 정책 추진을 가속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다소 아쉬운 대목도 있다. 각 부처의 산하기관이 발표한 사업계획을 살펴보면, 예산 대부분이 R&D 투자를 통한 기술 고도화에 집중됐다. 중소기업 전용 R&D 부문에서 ▲성장사다리 강화 ▲공급·수요연계 ▲글로벌벨류체인(GVC) 진출 지원 등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산업계 연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은 다소 미흡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업계 전문가들은 올해를 “소부장 산업을 활성화할 적기”라고 말한다. 확대된 국민적 관심에 더해 대대적인 정부 지원까지, 유례 없던 조건이 갖춰진 덕분이다. 다만 국내 산업계가 이같은 바람을 타고 성장가도를 달리기 위해서는 생태계를 구축하고, 중장기적인 성장을 이룩하도록 하는 연계성 확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실기하지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한 관·민·산·학계 공동의 노력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