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소로드맵 마련… 2050년 70조 시장으로 60만 고용창출
세계 최초 수소법 2월 시행, 로드맵2.0도 마련
수소차 1만대, 충전소 50여기…충전소 대란 심각
보조금‧튜브트레일러 임대 등 경제성 보급 총력

현대자동차가 세계 처음으로 양산한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
현대자동차가 세계 처음으로 양산한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

수소경제가 본격화된 지 2년이 됐다. 세계 최초 수소차 1만대 보급 돌파는 우리나라 수소경제의 위상이자 이정표라 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수소법 시행, 수소로드맵2.0 및 수소기본계획 수립 등 제도 및 정책적으로 보다 세밀해질 예정이다.

하지만 수소경제가 가야 할 길은 아직 멀고도 험하다. 여전히 일반인들에게는 ‘수소폭탄’ 등 위험한 에너지라는 인식이 강하며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해 수소충전소 보급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 온전한 시장경제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올해는 수소경제 전담기관의 역할이 본격화되는 만큼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을 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소, 에너지원으로 인정…수소법‧로드맵2.0 시행

수소경제는 2019년 1월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1.0)에 의해 본격화됐다.

정부는 수소차와 수소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를 선도해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그린경제를 실현하는 동시에 세계 수소시장도 선점하겠다며 일석이조 전략의 야심찬 수소경제 청사진을 내놨다.

당시에 내놓은 목표는 아직까지 큰 변동없이 진행되고 있다.

수소로드맵1.0의 차량부문 목표는 ▲2040년까지 수소차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총 620만대 생산 ▲수소충전소 2022년 310개, 2040년 1200개 보급 ▲수소 대중교통 확대를 위해 2040년까지 수소택시 8만대, 수소버스 4만대, 수소트럭 3만대 보급이다.

연료전지부문 목표는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 내수 8GW, 수출 7GW 등 총 15GW 생산 ▲2040년까지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2.1GW 보급이다.

또한 수소 공급은 2018년 13만t에서 2040년 526만t으로 대폭 늘리고 수소가격은 2040년까지 kg당 3000원 이하로 유도할 계획이다.

맥킨지의 ‘한국 수소산업 로드맵’에 따르면 2050년 국내에서만 연간 약 70조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하고 약 6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역시 수소경제 로드맵을 통해 2040년 연간 약 43조원의 경제효과와 약 42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까지는 수소경제의 기본 골격을 만드는 시기였다면 올해부터는 내부 조직을 그리는 시기가 될 전망이다.

오는 2월 5일 세계 최초로 수소법(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다. 수소법은 수소경제에 대한 지원, 기관의 역할, 안전 기준 등이 모두 법제화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수소법 시행에 앞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2.0이 발표될 예정이다. 로드맵1.0에서는 수소차 및 충전소 보급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로드맵2.0에서는 유통망 구축, 액화수소 상용화, 그린수소 기술개발 및 보급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이다.

수소기본계획도 마련된다. 수소를 신재생에너지원에서 빼내 하나의 국가적 에너지원으로 인정하고 이에 대한 활용 및 확보 방안을 전략적으로 담을 예정이다.

◆진흥‧유통‧안전 전담기관 역할 본격화

수소법 시행으로 법에 명시된 수소경제 전담기관의 역할도 본격화된다.

수소법에는 수소경제의 진흥, 유통, 안전을 전담하는 기관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소경제를 총괄하는 수소경제위원회가 지정한 각각의 전담기관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KOREA),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임무도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진흥 전담기관 H2KOREA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수소경제 이행 성과분석, 조사 등 정책지원, 연구개발 및 표준화, 전문인력양성, 기반조성사업, 수소기업의 판로개척, 정보제공 등 경영 자문, 산·학·연 기술협력, 홍보, 국제협력 등 수소경제의 수족을 담당하다.

유통 전담기관인 한국가스공사는 유통시장 모니터링을 넘어 수급관리를 책임지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다.

주요 임무는 적정 가격유지, 수급관리, 공정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감시·점검·지도 및 홍보, 생산설비 및 충전소 등 이용설비 운영정보의 수집·제공 등이다.

이를 위해 가스공사는 수소유통거래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수소거래소를 설립할 예정이다. 또한 유통비 인하를 위해 수소 이동수단인 튜브트레일러 지원사업도 시행한다. 2023년까지 80대를 구입해 수소 공동구매 운송업체에 일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유통 플랫폼을 통한 감시자로서의 역할도 할 예정이다.

안전 전담기관인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수소용품 및 수소연료 사용시설의 안전에 관한 조사·연구 및 기술개발, 안전에 관한 교육 및 홍보, 안전에 관한 국제협력, 사고예방 기술개발 및 기술지원 등을 맡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하남고속도로휴게소에 구축한 수소충전소.
현대자동차가 하남고속도로휴게소에 구축한 수소충전소.
◆수소충전소 경제성 보급 위해 파격 지원

수소경제 진흥 전담기관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H2KOREA)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수소차 보급 대수는 승용차 1만432대, 상용차 45대 등 총 1만477대이다.

반면 수소충전소 보급 대수는 지난해 12월 21일 기준 일반용 52기, 연구용 7기 등 총 59기밖에 안 된다.

서울의 경우 수소차가 1500대가 넘지만 현재 이용 가능한 충전소는 3기밖에 없으며, 강원도의 경우 800대가 넘는 수소차가 보급됐지만 충전소는 단 1기밖에 없어 전국 수소차 운전자들이 ‘충전소 찾아 삼만리’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충전소 보급이 더딘 이유는 크게 2가지. 수소에 대한 공포감으로 주민들이 충전소 설치를 반대하는 것과 충전소 운영 수익이 나지 않아 경제적 설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조성경 명지대 교수에 따르면 주민 10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66.8%가 수소 보급 확대에 동의하면서도 우리동네 충전소 설치에는 52.6%, 연료전지 설치에는 42.8%밖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과거에는 주민들에게 혜택을 주면 위험을 감수했지만 최근에는 위험이 사라지지 않으면 혜택도 받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주민과의 대화 주체로 사업자가 나서기보다는 정부와 지자체가 직접 나서서 신뢰감을 주고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수소충전소의 매입가격은 kg당 5000~8000원 수준이며 소비자 판매가격은 7000~8000원 수준이다.

이 정도의 마진으로는 충전소가 수익을 남기기 어렵다. 수소충전소는 고압가스시설로 분류돼 법적으로 안전관리자 2명을 상주시켜야 하는 등 인건비가 높으며, 기술적 한계로 충전 가능 대수와 양도 예상보다 훨씬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충전소의 경제성 보급을 위해 융단폭격 지원을 할 예정이다.

우선 충전소 수익을 보조하기 위해 매입단가에서 kg당 2000~3000원의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며, 내년 1분기 내로 충남 당진에 수소출하센터를 개소해 중부권 유통비용을 kg당 2000원 수준 감소시킬 계획이다. 여기에 가스공사의 튜브트레일러 임대사업까지 더해지면 충전소 수익이 확보돼 경제성 보급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