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온실가스의 주범인 내연기관차 퇴출이 전 세계적 추세이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와 노르웨이가 당장 2025년부터 내연기관차를 시장에서 퇴출하겠다고 선언했고, 우리 정부도 2035년 내연기관차를 없애고 전기차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에 따라 전기차 산업이 폭발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전기차 관련 시험인증 산업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의 안전성은 아직 물음표인 상황이다. 정부가 전기차 산업 활성화에 속도를 내면서 관련 업계도 출시일을 정해놓고 거기에 거꾸로 맞춰 개발과 시험인증을 완료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해외의 경우 전기차 개발 도중 불이 나면 불합격이 돼서 출시 일정을 연기하지만, 국내 상황은 그렇지 않다”며 “국내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불이 나면 문제 해결에 걸리는 시간만큼 출시 일정이 밀려야 하는데, 출시일을 고정해두고 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구조”라고 문제를 꼬집었다.

그만큼 해외에 비해 개발 기간이 짧다는 것.

상황이 이렇다보니 출시일과 시험 일정이 맞물려 제대로 시험할 시간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전기차의 성능과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배터리의 경우 안전성이 갑자기 수정 혹은 개선될 수 없는 상황에서 이처럼 출시일을 정해놓고 시험을 진행하는 것은 분명 문제다.

업계 전문가는 “전기차 배터리는 단기간에 안전이 개선될 수 없어 개발일정을 앞당기라고 다그쳐도 한계가 있다”면서 “출시 일정이 늦어지더라도 외국처럼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이런 부분이 개선되지 못하면 자칫 개발·시험이 제대로 안 된 상태로 전기차가 출시돼 소비자 안전이 위협을 받을 수 있는 만큼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기차가 우리 일상이 되기 위해서는 그 첫 스텝인 안전도 일상이 돼야 한다.

당장 출시일이 밀리더라도 개발 기간을 충분히 갖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소비자신뢰를 얻고,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의 대체재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지름길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