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에 발표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석탄화력발전소가 대거 폐지되고 액화천연가스(LNG)복합발전소가 이를 대체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전환’을 표방하고 있으며 지난 2017년 발표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이번에 발표될 예정인 9차 전기본을 합하면 원전·석탄은 줄이고 가스·신재생은 늘리는 방식으로 에너지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1월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에는 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발전소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수소를 활용한 가스발전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는 등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가스발전 확대와 수소경제 활성화의 공통점은 국내 LNG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이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첫째로 전기로 물을 분해하는 방법(수전해), 둘째로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부생수소)를 포집하는 방법, 셋째로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에서 분해하는 방법(개질수소 혹은 추출수소) 등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수소는 대부분 세 번째 방법으로 생산한 개질수소인데, 가스발전소 확대와 수소연료 사용 확대가 맞물리면서 국내 LNG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문제는 한국이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나 물동량 등 가스수급 안정성을 좌우하는 변수를 스스로 컨트롤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국제정세 불안정으로 천연가스 물동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거나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 국가적인 차원에서 위험 회피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물론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로의 전환은 꼭 필요하며 궁극적인 목표여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전환보다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이 우선돼야 한다.

한국은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산업구조와 수출중심의 경제구조를 보유하고 있어 저렴한 에너지 수급도 중요하게 고려돼야 한다.

숫자로 제시된 목표를 맞추기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붓다가 수치화할 수 없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지 못해 실패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