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ESS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ESS 시장 초기 상업운전 레퍼런스를 확보한 나라는 한국밖에 없었고, 온 세계의 눈이 한국으로 몰리기 시작했다. LG화학을 비롯해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한국의 배터리 3사가 세계를 대표하는 배터리 기업이 된 데도 ESS의 기여가 컸음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정부는 ESS라는 설비에 부담감을 갖는 듯하다. 2017년 화재 사고 이후 내놓은 배터리충전율(SOC) 제한 조치가 내려졌지만, ESS 사업자들의 손실 보전 대책도 제대로 내놓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신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진흥대책을 내놓는 데도 소극적이다.

반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같은 국제 표준기구는 오히려 한국의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ESS 안전 대책을 표준화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한국의 화재사고가 앞으로 세계시장에서 확대될 ESS 시장의 안전 확보를 위한 타산지석의 사례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 ESS 시장은 연간 20%씩 성장하고 있다. ESS 중심의 에너지 정책 방향이 틀리지 않았다는 얘기다.

외국 ESS는 한국 사례를 기반 삼아 더 큰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정작 화재사고를 몸으로 체험한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나.

화재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낼 때다. 앞으로 진행될 에너지전환과 분산전원 활성화에 ESS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그때 국내 ESS 산업이 이미 죽어있다면, 한국 시장은 외국기업들의 놀이터가 되고 만다.

그렇기 때문에 내달 발표될 예정인 정부의 분산전원 활성화 로드맵이 중요하다. 해당 로드맵에 ESS 진흥 대책이 담기지 않으면 이미 매출이 반 토막도 모자라 반의 반 토막이 나고있는 중소기업들은 사업을 유지할 동인을 잃고 만다.

업계가 되돌아오지 않는 메아리를 기다리며 계속해서 ESS 시장을 살려달라고 외치는 이유다. 어떻게든 12월에는 진흥대책이 포함돼야 한다는 간절한 바람이 담긴 목소리다. 정부는 이 목소리를 언제까지 외면할까. 12월에는 그 답이 나올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