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2050 LEDS 수립을 위한 국민토론회 온라인 개최
발전부문서 총 온실가스 약 40% 배출
재생E 보급 확대 및 CCUS 활용 등으로 탈탄소 유도
탄소중립에 재생E 비중 80~85%...유연성 자원 확보 중요
비용 및 면적 비현실성 지적...2050년 50%가 적절 의견도

17일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선임연구원이 LEDS 발전부문 비전 및 과제를 설명하고 있다.
17일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선임연구원이 LEDS 발전부문 비전 및 과제를 설명하고 있다.

“전기에너지를 온실가스 없이 깨끗하게 생산하는지가 탄소중립 전략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지난 19일 환경부가 주관한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수립을 위한 국민토론회에서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90%가 에너지 생산과 소비에서 발생하고 있고 발전부문에서 약 38%가 배출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발전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거에도 강조돼 왔다. 다만 그동안은 탄소중립이란 강력한 전제가 붙지 않은 상태였다. 미세먼지 저감을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 수준이었던 것. 이제는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선언을 무시할 수 없는 노릇이다. 올해 말까지 유엔에 제출해야하는 LEDS 전략 수립에 탄소중립을 포함시키는 등의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원은 기후변화 등 대응을 위한 과감한 전원믹스 개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이 심각한 석탄발전 비중을 축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전력공급체계를 구축하고 그린수소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원의 적극적 활용을 제안했다. 또 탄소포집·활용 및 저장기술(CCUS) 등 탄소배출을 줄이는 기술의 혁신을 기반을 둔 화석발전의 보완을 설명했다.

그는 “결국 재생에너지로 갈 수밖에 없다. 2050년까지 비중을 80~85%까지 확대해야 한다. 다른 방법은 없다. 다행인 건 기술 혁신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생산원가가 내려가고 효율개선으로 보급은 늘어날 것”이라며 “일부분은 화석연료 발전을 해야 할 텐데 이 부분은 탄소포집 등 제거기술로 0으로 만드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결과제로는 재생에너지 전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공급 중단 가능성 극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창훈 연구원은 “태양광, 풍력을 사용하기 위해 예측·저장·이용 등 전체적인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며 “수소를 활용(P2G)할 수도 있고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분은 LNG 발전과 수소발전 등을 통해 간헐성을 극복하고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LEDS 추진 및 탄소중립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이종수 서울대학교 교수는 재생에너지 확대 및 화학연료 비중 감축을 위해 정당한 비용 부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RPS를 통해 들어간 비용이 2015년 6591억원에서 2018년 1조8398억원까지 증가했다”며 “이는 3%에서 5%로 늘어난 것밖에 안 된다. ‘재생에너지 3020’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28%까지 확대해야 해서 비용증가분이 상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재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소중립을 위해서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80% 수준, 335GW가 필요하다. 이 정도 태양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7배의 면적이 소요되며 이 때문에 주민수용성 문제도 더 커질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을 해보니 2050년 재생에너지 비중 50%가 적정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