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소차 판매량이 9000대를 넘어 1만대 시대를 눈 앞에 두고 있다. 단연 세계 1위이다.

수소차는 배출물질이 물밖에 없는 인류의 궁극적 모빌리티로 꼽힌다. 이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독보적 지위를 갖고 있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수소차만 늘어나면 뭐하나, 수소를 공급해줄 충전소가 태부족인 것을. 자칫 충전 대란까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 전국 수소충전소는 총 47개. 이 가운데 연구용 8개와 운영이 중단된 곳을 제외하면 일반 수소차가 이용할 수 있는 충전소는 30개 중후반 수준에 불과하다.

수소차 운전자들은 매번 수십 km를 이용해 충전하는 ‘충전소 찾아 삼만리’ 고난을 겪고 있다.

수소업계는 충전소 보급이 더딘 원인으로 크게 2가지를 꼽고 있다.

우선 부품의 국산화율이 낮다는 것이다. 수소경제가 아직 산업 초기이다 국내에 관련 산업생태계가 조성되지 않아 핵심부품인 압축기 등은 미국, 독일 등 해외 수입에 의존해야 한다.

최근 코로나19 사태가 겹치면서 부품 조달이 쉽지 않은 데다 고장이 나면 이를 수리할 해외 엔지니어의 입국도 오래 걸려 충전소 보급을 더디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업계는 이보다 더 큰 원인으로 충전소 허가권 문제를 꼽고 있다.

수소의 안전을 다루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제4조에는 제조소, 저장소, 판매소 모두 시장, 군수, 구청장 등 기초단체장의 허가를 받도록 명시하고 있다.

선거로 선출되는 기초단체장이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는 터. 수소충전소가 위험시설이라는 인식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단체장들은 충전소 허가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충전소 허가권을 기초단체가 아닌 정부가 갖도록 시급히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1대 국회의 첫 국감이 시작됐다. 충전소 보급 문제가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협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