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발전설비 진입·퇴출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수급기본계획은 15년 단위로 설정한다.

이 단위를 15년으로 설정한 것은 발전설비를 계획·건설하고 준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준비를 마치려면 그 정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현재 건설재개를 놓고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이 확정된 것은 지난 2008년 수립된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다.

현재 건설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7기는 모두 지난 2013년 수립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확정됐다.

에너지전환 정책에 반대하는 석탄·원자력계도 재생에너지로 가는 방향성은 공감하면서도 지나치게 급격한 변화를 지적하고 있을 정도로 에너지 정책 급선회에 따르는 위험이 크다.

2년마다 15년 단위의 계획을 세울 정도로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한 계획을 손바닥 뒤집듯이 바꾸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게다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비단 발전업계뿐만 아니라 모든 업계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주민수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석탄·원자력·가스·재생에너지 등 발전원을 막론하고 주민 반대에 부딪혀 사업이 지연되거나 좌초되기까지 하는 상황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관련 기관을 압박한다고 묘수가 나오는 시대는 끝났다.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는 일이지만 최근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앞으로는 발전사업을 추진할 때 더 긴 호흡을 두고 추진해야 할 것이다.

에너지전환이나 그린 뉴딜 등 에너지 정책에서 정부가 원하는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주민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겠다는 문 정부의 방향성에 무한한 공감과 지지를 보낸다.

다만 그만큼 사업 진행이 더뎌지는 게 당연하다는 점도 함께 받아들임으로써 인내하고 기다리는 자세도 동반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