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권 해상풍력사업, 한국판 그린뉴딜사업 바로미터”

1월 60MW 실증단지 완공 이어 7월 주민 상생사업 업무협약 체결
400MW 후속사업 추진기반 마련 사업화 단계 진입 이정표 정립
지역사회 상생 실천 방안 협의가 사업 성패 결정
민관합동협의회 유기적 운영 통해 최적 합의 주력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단지는 지난 7월 17일 문재인대통령의 현장방문으로 이슈화되면서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린뉴딜의 최선두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전에도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단지는 해상풍력사업을 비롯해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진일보시키는 핵심 국책사업으로 주목을 받아왔다.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여영섭 한국해상풍력 사장을 7월 31일 전북 고창실증단지센터에서 만나 사업의 의미와 현황 및 향후 계획 등을 들었다.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사업이 갖는 의미는.

“서남권 해상 풍력사업은 한국판 그린뉴딜사업의 그린에너지 사업이 구체화되는 현장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린에너지 사업의 핵심내용인 해상풍력발전 본격추진을 위한 실험과 확대가 동시에 이뤄지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14일‘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이 발표된 후, 7월 17일 이곳 서남권 해상풍력 실증단지에서 대통령님을 모시고 정부 지자체 주민 사업자간에 2.4GW의 해상풍력 추진 MOU를 체결하고, 정부가‘해상풍력 발전방안’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 현황은.

“Global Wind Report 2019에 따르면 2019년말 전세계 풍력발전 설치용량은 62만1421MW이며 해상풍력 설치용량은 2만9136MW로 4.69% 수준이다. 2009년까지는 1%이하, 2010년에서 2014년까지는 2%이하, 2015년에서 2018년까지는 3%이하였던 것에 비하면 해상풍력 설치속도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따르면, 2018년 1.3GW인 풍력에너지 시설용량을 2030년까지 16.5GW로 확대하고, 이중 12GW를 해상풍력에서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가동 중인 해상풍력이 탐라해상발전 30MW, 한국해상풍력 60MW로 모두 90MW라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갈 길이 얼마나 멀고, 해야 할 일이 얼마나 많은지를 알 수 있다. 비교적 이른 기간 내에 실현가능성이 있다고 정부가 기대하고 있는 해상풍력발전은 서남해 2.4GW, 전남 신안군 3.5GW, 울산 부유식 풍력발전 1.4GW, 제주 0.6GW, 인천 0.6GW 등을 들 수 있다.”

▶한국해상풍력을 간략히 소개하면.

“한국해상풍력은 한전과 발전자회사들이 출자해 2012년 12월 설립됐다. 2010년 11월 수립한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에서 서남해 해상풍력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2011년 11월 ‘서남해 2.5GW 해상풍력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실증단계, 트랙레코드 확보를 위한 시범단계, 대규모 단지를 건설하는 확산단계의 3단계로 구성돼 있다. 한국해상풍력은 이중에서 실증단계와 시범단계 사업을 수행한다. 2017년 5월 해상공사를 착공, 2020년 1월 말 60MW 실증단지를 완공했다. 후속사업 추진과 관련해 그동안 지역주민과의 갈등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지역사회와의 협의를 거쳐 사업추진을 합의하고 지난 7월 17일 ‘전북 서남권 주민상생형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추진 업무협약서’를 체결함으로써 400MW의 시범사업은 물론 후속 확산단계 사업까지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60MW 실증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에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으로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하는 사업인 만큼 회사 설립 이후 착공까지 매 단계가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대표적으로 국내 터빈제조업체의 투자환경 변화,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들 수 있겠다.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계 사업은 풍력산업 후발주자인 국내 업체들에 테스트베드를 제공해 글로벌 시장에의 조기진입을 지원하려는 목적이다. 이에 따라 초기에는 8개 터빈제조업체가 참여해 100MW를 설치하려는 계획이었으나 사업진행 중 투자환경 변동으로 1개 업체를 제외하고 모두 철수했고 설치용량도 60MW로 변경됐다. 원래 풍력발전기 설치용량 한계, 소음피해, 경관훼손을 우려하는 지역사회 민원 등 육상풍력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해상풍력을 추진하게 됐지만 해상에서도 어장 잠식, 어업환경 피해 등을 우려하는 어민들의 반발이 있었다. 이런 문제는 어민과의 공동 참여로 해상풍력과 수산업 공존모델 연구, 해양환경 영향조사 등을 수행하면서 상생방안을 마련하고 협의하면서 이견을 좁혔다.”

▶실증단계 사업의 성과는.

“풍력터빈 등 발전시설 개발과 실증, 지역협력을 위한 제도개선, 시설운영을 위한 절차서 개발, 발전단지 내 선박통항 및 어로행위 허용을 위한 기준마련 등이 성과다.

터빈의 경우 바람이 부족한 우리 해역에 맞는 저풍속 블레이드를 개발해 처음 적용했다. 또 해저 지반층까지 파일을 타설해 기초를 세우는 기존 재킷기초와 달리 파일을 타설하지 않고 압력차를 이용해 해저면에 심듯이 재킷을 설치하는 석션버켓공법을 개발해 일부 적용했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 개선과 주민참여형 사업에 대한 REC 가산지급제도 신설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제도화한 것도 큰 성과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해상풍력사업도 이 지원제도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의 개정으로, REC 가산지급을 통해 지자체 및 지역주민과 상생을 강화하는 제도도 신설했다.

해상환경 특수성을 반영해 ‘해상작업 안전 절차서’, ‘해상풍력 운영매뉴얼’, ‘해상기초구조물 점검기준’, ‘해상변전소 점검기준’ 등을 마련했다. 마지막으로 어민과의 공존을 위해 단지 내 선박통항의 안전 확보 연구를 거쳐 안전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해양수산부 심사를 거쳐 선박통항과 어로행위 허용을 준비하고 있다. 이달중에는 관련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사회 반발에 대한 협의는 어떻게 추진했나.

“2012년 회사 설립 이후부터 지금까지 지역에서의 우려와 반발이 많았다. 해상공사 착공을 한 2017년 5월 이후에는 해상시위, 청와대 및 한국해상풍력 본사 주변, 전북도청, 군청 등에서 집회를 할 정도로 반발이 많았다. 이 과정에서 현장견학을 통해 피해가 없다는 것을 인식시키고 주민이 참여하는 해상풍력과 수산업의 공존방안 연구, 장기 해양환경영향조사 연구 등에서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이견을 좁혀나갔다. 2019년 4월에는 국회 기후환경변화 특위의 실증센터 방문 및 지역주민들과의 간담회를 계기로 2019년 7월 전북도에 민관합동협의회를 설치하고 보상, 지역협력방안, 해상풍력 설치방안 등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한 모든 사항을 공론화했다. 10여 차례의 협의회를 진행하면서 이견을 조정한 후 최종적으로 지난 7월 17일 서남해 2.4GW 추진방안에 대해 합의하고 대통령님을 모신 가운데 합의서에 서명할 수 있었다.”

▶향후 시범단계 추진과정은.

“향후 서남해 해상풍력 2.4GW 추진계획에서 한국해상풍력은 400MW를 설치하도록 민관합동협의회에서 합의가 됐다. 구체적인 위치를 결정하고 풍황 계측, 타당성 검토, 기본설계, 환경영향평가, 발전사업 허가 등 행정절차, 금융기관과의 투자비 조달을 위한 투자심사와 약정체결 등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주민과의 상생을 위한 실천방안을 만들고 합의하는 것이다. 큰 틀에서의 합의는 이뤄졌지만 이제부터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협력방안에 대해 협의를 해 나가야 한다. 사업 성패는 협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봐야 한다. 시범사업 단계의 경우는 종전과 달리 민관합동협의회에서의 공론화를 통해 크고 작은 사안의 협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며 민관합동협의회가 잘 작동된다면 효과적인 협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국해상풍력 사장으로서 중점을 두는 것은.

“우선 주민과의 합의를 토대로 400MW 시범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것이다. 시범사업 완성이 한국해상풍력 고유 설립목적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산업이 실증단계를 거쳐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로 진입하는 이정표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해상풍력발전업계에서 먼저 설립되고 상업운전을 시작한 회사인 만큼 회사에서 결정하고 추진하는 행위들이 해상풍력업계 선례가 될 수 있음을 항상 생각한다. 이 때문에 회사 경영인으로서 챙겨야 할 주주사의 이익, 지역의 지지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으로서의 지역사회와의 인연과 협력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을 통해 모두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한국해상풍력 직원들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다. 이들은 향후 해상풍력사업의 확대와 함께 여러 분야에서 해상풍력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잠재력 있는 핵심인력들이다. 각자 개인에 맞는 전문성을 찾고 키울 수 있도록 자율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