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서명운동, 65만명 달성 목전에...‘탈원전 정책 공론화’ 압박
녹색원자력학생연대, 미래대안행동 등 학생, 시민단체들도 함께 참여
울진, 경주, 기장, 창원, 영광, 김천, 대전, 세종 순회예정...9월 광화문 ‘총궐기대회’ 예고

14일 청와대 분수광장에서 원자력노동조합연대, 녹색원자력학생연대, 원전중소협력업체협의회, 울진군 범군민대책위원회, 미래대안행동 등 관계단체가 탈원전 정책 폐기와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14일 청와대 분수광장에서 원자력노동조합연대, 녹색원자력학생연대, 원전중소협력업체협의회, 울진군 범군민대책위원회, 미래대안행동 등 관계단체가 탈원전 정책 폐기와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재개를 촉구하기 위한 ‘1100km 전국 릴레이 대회’의 시작을 알리는 원자력계 구성원들의 표정은 비장했다.

14일 청와대 분수광장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는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중공업 등 원자력 관련 기업의 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원자력노동조합연대를 주축으로 녹색원자력학생연대, 원전중소협력업체협의회, 울진군 범군민대책위원회, 미래대안행동 등도 참가해 ‘탈원전 정책’의 수정을 요구했다.

노희철 한국수력원자력노동조합 위원장은 “백년대계를 세워야 하는 에너지 정책은 정치 쟁점화가 돼선 안 되고 각계각층이 함께 합리적인 대안을 도출해야 한다”며 “원자력노동자를 배제한 채 탈원전을 추진하는 정부가 노동 존중사회라는 슬로건을 내걸 자격이 있냐”고 말했다.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범국민 서명운동을 통한 온·오프라인 서명자 64만명 돌파를 기념하기 위해 기획된 이번 릴레이 대회를 통해 원자력노동계는 ▲원자력노동자 고용불안 해결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에너지정책 공론화 등을 관철하겠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원자력노조연대는 경북 울진군, 경북 경주시, 부산 기장군, 경남 창원시, 전남 영광군, 경북 김천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등을 순회하며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필요성을 국민과 공유한 뒤 다시 서울로 올라와 9월 중순께 광화문광장에서 총궐기대회를 연다는 방침이다.

원자력계는 65만여 명에 해당하는 ‘유권자 1.5%’의 서명을 달성한 뒤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계를 촉구하는 대규모 궐기대회를 예고한 바 있는데 서명에 참여한 인원은 13일 오후 7시 기준 총 64만5788명이다.

원자력계는 유권자의 1.5%라는 목적을 달성한 이후에도 계속되는 노력을 통해 100만명 서명을 달성하고 탈원전을 저지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그간 탈원전 반대를 주도한 원자력노동계 외에도 원자력 관련 학문을 공부하는 학생들과 시민단체들도 함께 참여해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호소했다.

전국 16개 대학에서 원자력을 전공하는 대학생, 대학원생 연합인 녹색원자력학생연대의 조재완 대표는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는 전기자동차가 흔해질 것이고 늘어나는 전기차에 어떻게 전기를 공급할지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전기차 시대에 원자력은 꼭 필요한 에너지”라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로 경제가 어려운 이 시점에 대통령의 결단만 있다면 국내 원자력계는 경제회복에 앞장설 수 있다”며 “수년 간 공부하고 연구하며 쌓아온 값진 지식과 경험을 국가발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힘주어 말했다.

정치 담론을 타파하기 위해 지난 6월 출범한 미래대안행동도 기자회견에 참석해 에너지 정책이 진영논리로 흐르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대순 미래대안행동 대표는 “미국의 대부분 대외전략은 에너지를 중심으로 만들어지고 있는데 앞으로도 그럴 것이고 한국도 마찬가지”라며 “전기가 1시간이라도 없는 세상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는 게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원자력노조연대는 이날 기자회견을 마친 뒤 ▲노동자 고용불안 요소 해소, 신규 일자리 창출 ▲원전산업계·기술력 유지를 통한 원전수출 가능 ▲원전기술 국가 경쟁력 유지 ▲기후 변화 위기에 적극 대응 가능 ▲경제적 효과 등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의 기대효과를 담은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를 요구하는 정책건의서’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