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성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장, 올해 글로벌 판매량 7000만대 초반 관측

자동차 업계가 코로나19 타격으로 인해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되고 오는 2023년쯤에나 지난해 수준의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보성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장은 지난 10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동차 판매가 급락하면서 올해 상반기 세계 전체 판매량이 30% 감소했다”며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해 8756만대에서 올해 7000만대 초반으로 줄어 전반적으로 20% 가량의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선진국의 수요 감소를 신흥국의 자동차 대중화 등으로 상쇄했으나 이번에는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동반 침체하고 있어 완충재가 없다고 분석했다. 수요와 공급에 동시에 위기가 온 데다 자동차 산업 자체가 전환기에 진입한 상황인 점 등도 과거와 다른 측면이다.

이 소장은 “내년에는 기술적인 반등 효과가 커서 7000만대 후반까지 회복될 것”이라면서도 “오는 2023년이 돼야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국내 자동차 시장의 경우 올해 내수 판매가 전년대비 1% 줄어든 정도인 반면 수출은 아프리카·중동, 중남미에서 코로나19가 계속되면서 판매가 급감하고 있어 30~40%대의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 자동차 산업은 코로나19 이후 ‘직접 접촉(컨택트)의 배제’와 ‘연결(커넥트) 방식의 변화’라는 사회 트렌드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했다.

자동차 업체는 현지 완결형 조달 체제를 구축해 수급을 안정화하는 것은 물론 공급망을 가시화해 리스크 발생시 신속하게 파악하고 공급망 붕괴 시 빠른 복원이 가능한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모빌리티 시장은 공유 서비스 기피 트렌드로 전환기에 직면할 것으로 분석했다. 성장 속도는 다소 감소하는 대신 단독 이용이 가능하고 위생 관리가 용이한 점유형 모빌리티서비스로 수요가 이동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 소장은 “일시적인 공유라는 개념보다는 일시적인 점유 방식으로 변할 것”이라며 “대중교통 대안으로 마이크로모빌리티가 부상하고 물류와 같은 사물 이동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친환경 소비 의식 강화와 전기차 지원 정책 확대 등 우호적인 환경을 기반으로 전동화 확산은 지속될 전망이다. 더불어 고령층의 디지털 기술 이용률이 증가하는 등 디지털 경험이 일상화되며 이에 대한 요구도 증가해 커넥티비티 성장은 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소장은 “자율주행의 경우 비대면 트렌드 확산으로 물류, 배송 등 사물 이동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완전자율주행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대두하며 당분간 레벨2·3의 주행 안전 보조 중심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