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첨단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 건립 추진
내년부터 가동…2023년 최종 완공
정확한 화재 원인 규명・실증 통해
명확한 예방대책 수립 업그레이드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 조감도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 조감도

“전기화재가 연간 8000여건 발생합니다. 전기화재 여부를 국과수, 소방청에서 판별합니다. 그런데 이 판별이 ‘추정’ 수준에 머뭅니다. 특히 재래시장에서 화재가 나면 명확한 원인 판별이 어렵습니다. 당연히 예방대책도 미흡할 수밖에 없습니다. 원인이 명확해야 대책도 명확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조성완) 전기재해분석센터 방선배센터장은 전기화재 원인분석의 현주소와 아쉬움을 이같이 밝혔다. 현재 전기안전공사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 건립사업은 전기안전연구원이 총괄 주관하고 있다.

실무책임자인 방 센터장은 “정확한 화재원인 규명과 실증을 통해 명확한 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전기화재분석센터의 성공적인 건립과 운영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 동안 총 150억원을 투입해 전북 정읍에 최첨단 분석장비 및 설비 50여종과 건축물 3개동(3600㎡)을 갖출 계획이다.

지난 1월 착공했으며 2023년 최종 완공하게 된다. 올 한 해 동안 기본 장비와 설비, 건물을 1차로 갖추며 2021년부터는 센터 운영을 시작한다. 이후 매년 장비와 설비 및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전기화재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상당히 고도화된 기술적인 요인이 가미되어야 한다. 전기화재의 흔적인 ‘용융흔’은 3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단락에 의한 스파크 용융은 전기가 화재원인임을 확인해 준다. 둘째, 외부 화재로 전선 피복이 녹아 발생한 스파크 용융은 화재원인이 전기가 아닌 경우다. 셋째, 외부 화재로 전선 피복이 녹으면 스파크 없이도 용융이 생기는데 이것도 전기가 화재 원인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두 번째, 세 번째 경우도 전기화재로 판별되는 사례가 많다. 사실상 대부분이다.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는 세 가지 경우를 명확히 구분해 밝혀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기화재 여부는 물론 보다 명확한 전기안전대책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 구축과제는 원인규명기반구축사업, 재현실증인프라구축사업, 지능정보시스템구축사업 등 3축으로 진행된다.

원인규명기반구축사업은 ▲첨단현미경, 내시경카메라, 시편가공기, 엑스레이 장비, 초미소정밀경도계 등 도전재료분석장치와 ▲첨단분광분석기, 동시열분석기, 원소(산소농도)분석기 등 절연재료분석장치를 갖추는 사업이다.

재현실증인프라구축사업은 ▲아크재현설비, 오동작실험부하 등 전기스파크(아크)화재 실증설비와 ▲첨단챔버, 화염방사장치, 배터리단락시험기, 소화집진설비, 진동실험설비, 연소룸 등 전기설비 노후화 손상화재 재현설비 등을 갖추는 사업이다.

지능정보시스템구축사업은 ▲데이트저장서버, 통신분석시스템, 통신보안시스템, 통계분석시스템, 시각화시스템 등 빅데이트 통계분석시스템과 ▲저압 및 고압 감시시스템인 화재위험(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갖추는 사업이다.

전기재해종합분석센터가 건립 운영되면, 전기화재의 과학적인 원인규명과 사전예방 시스템 구축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불안감을 해소함은 물론 사후관리에서 사전예방, 전력공급에서 전기안전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전기화재 감소로 인한 비용 감축은 물론 안전산업 활성화를 통한 민간 중소기업 신성장 동력 창출, 아크진단·차단·배선기기 등 전기안전 스마트기기 수출동력 확보 등을 통해 약 6257억원의 경제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연구원 측의 설명이다.

방 센터장은 “현재 우리나라 전기화재 분석기술은 일본에 비해 10년, 중국에 비해 5년 정도 뒤쳐져 있다”며 “내년 센터 가동 시점에 일본 중국 수준으로 기술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1차적 목표며 이를 위해 금년 1차년도 기술개발과 설비 구축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