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중기중앙회서 열릴 간담회 두고 업계 합의점 도출에 관심 쏠려
PCS 아닌 ESS 전체를 조립토록 기준 두고 필요 검사 설비 개정 건의

22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리는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의 직접생산 확인기준 개선 간담회를 두고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가을부터 논의되고 있는 ESS의 직접생산 기준 개선을 두고 전력변환장치(PCS)와 배터리‧전력관리시스템(PMS)‧외함 등 업계 간 의견차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회의에서도 업계 간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논의가 미뤄진 만큼 이번 간담회에서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을지를 두고 업계가 주목하는 모양새다.

기존 직접생산 확인기준에서는 ESS의 주요 설비 중 하나인 PCS를 직접 제조해야만 직접생산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ESS는 배터리를 비롯한 다양한 설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산업인 만큼 타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하지 못하게 됐다는 불만이 높아졌다는 게 업계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번 간담회에서 ESS 업계는 PCS 뿐 아니라 배터리, PMS, 외함 등을 구입해 보유한 생산 시설 및 인력을 바탕으로 설계, 조립, 배선, 시험 등 생산공정을 거쳐 ESS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ESS 직접생산의 정의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할 예정이다.

기존 기준은 사실상 PCS 제품의 직접생산 기준인 만큼 영역을 ESS 전체로 확장하자는 것. 국내 PCS 업계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면 별도의 PCS 직접생산 제도 도입을 논의하자는 게 업계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ESS 업계는 대신 기존 PCS 중심의 검사 설비를 요구하던 조항을 ESS 완제품의 검사설비로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한국에너지공단이 ESS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을 위해 요구하는 시험설비로 대체하자는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ESS 직접생산이 목적인 만큼 직접생산 기준에 에너지공단의 ESS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서 사본을 제출토록 해 ESS에 대한 생산 능력을 확인토록 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PCS 제조업체들과 배터리‧전력관리시스템(PMS)‧외함 등을 만드는 업계 간 의견 조율도 가능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기존 기준이 PCS 직접생산에 가까웠던 것은 사실인 만큼 그동안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을 갖고도 PCS 업체가 아니어서 ESS 사업을 하지 못한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해당 논의가 진행될 경우 오히려 ESS 업계의 진입장벽이 한층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ESS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등으로 인해 적지 않은 인증비용이 발생할 수 있을뿐더러, ESS 전체 설비에 대한 시험 장비 구축 등으로 인해 오히려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ESS 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상 기존 ESS 직생 기준은 PCS 기준에 가까웠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ESS 업계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