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7000대, 전국 운영충전소 23곳 불과
국회충전소 연 수익 1억인데, 임대료만 3억
공급시장 과점, 업체 시장참여 유도정책 필요

서울 여의도 국회 수소충전소.
서울 여의도 국회 수소충전소.

<@1>

수소차 보급 수가 7000대를 넘었지만 전국 충전소 수는 30곳도 채 되지 않고 있다.

충전소 설치를 꺼리는 주민 민원 영향도 있으나, 턱없이 부족한 판매마진으로 충전소 적자운영이 심각해 민간 사업자의 참여가 더딘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충전소업계는 수소 공급시장의 과점현상으로 공급단가가 높게 형성돼 있다며 민간 참여가 활성화되도록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지난 1일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올해 1~4월 수소차 넥쏘의 국내 판매 대수는 2025대다. 지난해 판매량 4194대와 이전 판매량 727대까지 합치면 4월까지 누적 판매 대수는 6946대다. 판매 증가세를 감안하면 현재 누적 판매 대수는 7000대를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수소충전소 수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환경부의 저공해차 통합정보 누리집에 따르면 전국 수소충전소 수는 26곳이다. 이 가운데 서울 양재충전소와 상암충전소 등 영업을 하고 있지 않은 4곳을 제외하고, 최근 문을 연 강동충전소를 더하면 실제 운영 중인 충전소 수는 23곳에 불과하다.

이처럼 수소충전소 보급이 더딘 이유는 충전소 설치를 꺼리는 주민들의 반대민원도 있지만, 운영 수익이 거의 없어 민간 사업자들이 시장참여를 기피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수소충전소의 평균 판매가격은 ㎏당 8000원가량으로, 매입원가를 뺀 판매마진은 ㎏당 1000원에서 1500원가량이다.

또한 대당 평균 충전량은 3~4㎏이고, 충전소의 하루 평균 이용 대수는 60~70대다. 이를 감안하면 충전소 하루 수익은 30만원 언저리밖에 되지 않는데, 이 정도 수익으로는 영업이익은 고사하고 인건비, 임차료 등 운영비조차 벌어들일 수 없다고 업계는 하소연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가 운영하고 있는 국회수소충전소의 경우 하루 이용 대수 100대에 연 판매수익은 1억원에 불과하지만, 연간 임차료 3억원, 인건비 3억원, 설치 후 2~3년 후부터 발생하는 유지보수비 3억원을 감당해야 해 심각한 적자운영에 빠져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수소충전소 업계는 수소 공급시장이 소수업체의 과점으로 공급단가가 높게 형성돼 있다며 충전소의 적정마진이 형성되도록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현재 국내 수소 공급시장에는 5개가량의 업체가 있는데 실상은 2개 업체가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단가가 높게 형성돼 있다”며 “수소 공급단가가 크게 내려갈 수 있도록 가스공사 등 관련업체의 시장진입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2022년까지 수소승용차 6만5000대, 수소버스 2000대, 수소충전소 310곳을 보급하고 2040년까지는 승용차 275만대, 버스 4만대, 충전소 1200곳을 보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