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에 따라 발전설비 진입·퇴출 속도 빨라 계통운영 ‘난감’
원활한 에너지전환 위해 계통문제 대응책 마련 시급
특정 이슈에 대한 대응 아닌 패러다임 전환 측면에 대응한 전반적인 전력계통 검토 필요

정부가 과감한 석탄발전 감축을 추진하는 가운데 전력계통이 에너지전환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현재 전력예비율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지역별로 들여다보면 전력계통이나 조류에 대한 대비가 전력설비의 진입·퇴출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계통운영 일선에서는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노후 발전설비를 당장 계통에서 제외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일부 대규모 석탄발전단지에서 계통운영 때문에 계획대로 발전기를 폐지하기 힘들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계통운영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발전설비를 넣거나 빼는 데만 치중하다 보면 막상 계획된 폐지 시기가 도래했을 때 설비를 멈추고 싶어도 멈추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력계통 보강은 단시간에 이뤄질 수 없으므로 업계 관계자·전문가들은 “문제가 발생한 뒤에 대응하면 늦는다”고 입을 모은다.

따라서 최근 기저발전설비와 재생에너지발전설비를 막론하고 계통 측면에서 ‘경고등’이 들어오고 있는 것과 관련, 과감한 발전설비 변화보다 더 빠르고 과감한 대응이 전력계통에 필요하다는 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발전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유가 변화에 따라 계통한계가격(SMP)도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데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발전이 유연탄발전보다 변동비가 낮아진다면 급전 순위가 뒤섞여 석탄발전설비를 중심으로 형성된 전력계통에 혼란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전력당국 관계자는 “국내 전력시장이 경제급전을 채택하고 있지만 실무에서는 기술적으로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순위에 두고 계통을 운영하고 있다”며 “급전 순위가 뒤섞인다고 해도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오는 2024년부터 2034년까지 12.7GW 규모의 석탄발전소를 차례로 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이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큰 가운데 대체발전소가 새로운 위치에 건설되는 경우 전력계통 측면에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다행스럽게도 정부가 ‘그린뉴딜’에 발맞춰 전력계통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에 종합적인 계통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단순히 석탄발전소가 폐지되거나 급전 순위가 뒤섞이는 차원이 아니라 에너지전환에 따른 전력 조류의 변화를 분석해 전체적인 전력계통을 손봐야 한다는 것이다.

전영환 홍익대학교 교수는 “지금처럼 전반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시기에는 특정 부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보다는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맞는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대책을 마련할 때 놓치는 부분이 없도록 각 분야의 목소리를 고루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