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에 대한 에너지효율화 바람이 거세다. 작년 에너지효율 혁신전략 발표를 신호탄으로 특정 부문을 가리지 않고 효율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간 정부는 산업부문에 효율화 정책을 집중했었는데 “마른 수건 그만 짜라”는 산업계 비판을 의식한 듯 이제는 ‘잠재력'이 풍부한 건축물에 강력한 효율화 드라이브를 걸었다.

그중에서도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가 눈길을 끈다. 올해부터 새로 지어지는 1000㎡ 이상 공공건축물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이제는 신축 우체국이나 주민센터도 제로에너지건물로 지어야 한다는 얘기다. 5년 뒤에는 민간건축물(1000㎡)과 공동주택(30세대 이상)에도 적용된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이 늘어나면 당연히 사장도 커질 것이다.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은 이미 제로에너지건축물 정책을 추진해왔고 큰 시장을 형성했다. 전문가들은 2024년 기준으로 세계 시장은 1560조원, 국내시장은 약 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로에너지건축 시장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런 블루오션 시장을 우리는 바라만 봐야 할지도 모른다. 정책 추진에 따라 시장이 커지겠지만 건축에 사용되는 에너지 고성능 건축자제가 주로 수입제품이기 때문이다. 이 상태로 지속되면 풍력 산업처럼 실속은 외국회사한테 다 빼앗길 것이 자명하다. 이제부터라도 제로에너지기술 국산화를 위해 국내 연구개발에 대한 충분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제로에너지건축 참여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를 강화도 필요하다. 정책에 따라가는 수동적은 자세로는 시장 활성화를 이끌 수 없다. 현재는 취득세 15%, 에너지절약시설 설치지원 정도를 지원하고 있다.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해외처럼 보조금 지원 등 직접적인 재정을 지원하는 통 큰 지원이 필요하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는 의무화 제도다. 시간이 지나면 ‘어차피’, ‘언젠간’ 하게 된다. 이왕 하는 거면 온실가스 감축도,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도 이룰 수 있도록 확실히 하자.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