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기업현장에서 체감하는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영향은 매우 크게 느껴진다.

정부는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경제 침체를 우려해 “민생경제 기반이 무너지지 않게 금융·세제 및 고용 유지를 위한 지원을 적극 강화하겠다”고 강조하고 , 국회에서는 정부가 제출한 11조7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검토하며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매출 감소, 원자재 공급 차질 등을 겪고 있는 상태며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국내 기업을 살리기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자금 지원 대상 확대’와 ‘불필요한 지원 절차 축소’ 를 주장하고 있다.

전력의 수요관리사업(DR)에서도 예외만은 아닌 듯하다.

우리나라는 2014년 수요자원거래시장을 개설한 이래 매년 성장해 현재 수요자원거래 시장은 28개 수요관리사업자와 4168개의 고객이 참여해 원전 4기에 해당하는4.3GW의 수요자원용량을 등록하고 시장에 참여 중이다.

지난 12월 신뢰성 DR 의 실적은 최대감축요청량 1223MW 요청에 최대감축량 1399MW, 총 감축량은 4766MWh로 감축이행률 111%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경제성 DR 낙찰량은 4만1667 MWh에 감축량은 6만1383MWh로 감축이행률 147%를 보이고 있다.

28개의 각 수요관리사업자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4168개의 고객사와 소통하며 국가 전력수급에 일조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중이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요관리사업자들의 애로사항은 여러가지 행태로 나타난다.

신규 DR자원 개발을 위한 고객사와의 소통은 거의 차단된 상태다. 신규고객 발굴을 위한 고객 접점을 만들기 어려운 현실이다. 기존고객의 경우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고객사의 부하감축 범위변화, 공장가동률 분석 등 몇 배의 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또 지난 12월 대폭적인 DR제도개편으로 수요관리사업자와 고객사간에 양적, 질적 소통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때다.

실질적인 차등정산은 업체들의 제도 적응을 위해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올해 6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전력수급 여건을 고려해 업체들의 자발적인 입찰기회는 보다 확대하고 반면에 의무감축 발령은 수급비상시로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 유예기간중에 최근 고객과의 직접적인 대면 미팅은 거의 중단된 상태다.

현재 각 수요관리사업자는 고객사와 함께 신제도개편의 시행 준비와 5월에 계획된 추가 자원등록 및 전반기 마감을 위해 분주하다. 코로나19으로 고객사와의 일부 커뮤니케이션이 제한된 실정이지만 온라인 소통 등 대체해 가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국내의 경우 점차 빠르게 호전되는 분위기의 일로에 있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국가 전체가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DR 사업자와 참여고객사는 작금에 신제도개편의 시행을 통한 DR제도의 실효성과 경제성을 향상하고 국가 전력수급에 기여하는 막중한 책임을 갖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DR사업자와 고객사간에 더욱더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다시 한 번 자리매김해야 할 때라고 본다. 상호간의 신뢰와 협력만이 고객사와 DR사업자간에 Win-Win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국가전력수급에 기여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