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기기업계의 관심이 에너지밸리를 향하고 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에너지밸리 입주기업에 부여되는 지역제한 입찰 특례 여부가 오는 27일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의 적자로 인한 물량 감축, 대내외적인 기업환경 악화로 인해 먹거리를 고민하는 업계에서 특례 연장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배경이다.

현재 430개사에 달하는 에너지밸리 입주기업들은 지난 2015년 3월부터 5년간 한전의 연간 구매 물량의 10~20%를 우선구매토록 한 특례를 받아왔다. 이 때문에 대기업군을 제외한 중소기업 중에서도 다수 기업이 수백억원에 달하는 과감한 투자를 통해 에너지밸리행을 택한 바 있다.

이번 특례 연장 여부는 에너지밸리 조성으로 지펴진 불씨가 들불이 돼 전력산업계 전반으로 번질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한정된 물량을 두고 경쟁을 벌여야 하는 업계에선 발주 물량 수준과 직결되는 이번 결정의 향배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업계 일각에서는 특례 연장 여부에 촉각을 세우고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특례 연장 여부가 불투명성, 자금 부족 등으로 아직 내려가지 못한 일부 기업들의 경우 연장이 확정되면 곧장 에너지밸리행을 택할 것이란 소문도 들려온다.

반대의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미 에너지밸리에 입주한 일부 중소기업들은 특례가 연장되지 않을 경우 기업존립을 고민하는 기로에 서게 될 수도 있다. 에너지밸리의 경우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인프라, 정주여건 등이 열악한 상황인데, 물량 추가 확보 가능성마저 사라진다면 투자비 회수는 물론, 고정비조차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여건이 되지 않아 뒤늦게 내려오다 보니 실제로 특례를 본 기간은 1년뿐”이라며 “당연히 특례가 연장될 것이라 보고 투자를 감행한 것인데, 특례 일몰을 20일 앞둔 시점에도 전망이 불투명해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에너지밸리는 인구감소, 산업육성 기반 부족 등으로 성장 동력이 소멸돼 가던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방안으로, 업계에는 일감 확보폭을 넓힐 수 있는 묘안으로 각광 받았다.

잠시 반짝하고 마는 정책은 중소기업의 성장동력을 떨어뜨릴 독배가 될 수도 있다. 업계 발전을 지속가능하게 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또한, 특례 연장 여부와 관계없이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지원책을 마련해 ‘용감한 투자’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