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화재사고 조사단 6일 2차 조사 결과 발표
5건 화재 가운데 4건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
배터리 업계는 결과에 반발…납득 못할 논리 지적

지난해 1월 배터리 화재가 발생한 울산의 한 공장,(제공=연합뉴스)
지난해 1월 배터리 화재가 발생한 울산의 한 공장,(제공=연합뉴스)

최근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를 두고 조사단은 배터리 결함을 원인으로 추정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업계는 적정한 운영 수익을 보장하면서도 ESS 안전을 확보토록 정부가 충전율 제한을 신규설비에 도입한다.

wlsks 6일 ESS 화재사고 조사단은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ESS 화재사고와 관련 그동안 실시한 원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지난해 1차 조사 이후 지난 조사위의 분석, 실험검증, 현장조사 검토자료 등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분석을 실시했다. 아울러 시스템‧배터리 운영기록, 절연감시기록 등 보존된 정보를 활용해 지난 조사위 결과보다 배터리 이상과 화재발생 간 관련성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조사 결과 조사단은 총 5개 화재현장 가운데 4곳에서 배터리 이상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충남 예산, 강원 평창, 경북 군위, 경남 김해 현장은 유사 또는 동일한 사업장에서 발화지점과 유사한 방전 후 저전압, 큰 전압편차를 보인 배터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배터리가 화재원인으로 추정된다는 게 조사단 측의 설명이다.

반면 경남 하동의 경우 배터리 이상으로 지목할 수 있는 운영기록은 확인되지 않았고,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영향 가능성도 현장조사 결과 낮은 것으로 판단했다.

◆수익-안전성 두 마리 토끼 잡을 운영환경 연구 필요= ESS 업계는 최근 화재와 관련 가혹한 배터리 운영환경을 주요인 중 하나로 지목하고 있다.

수익을 보다 많이 내기 위해 배터리 제조사가 제시하는 최대치의 충전율로 사실상 고정하다시피 하는 운영환경이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고 문제를 일으킨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

조사단 한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 강원 평창 사이트의 경우 배터리뿐 아니라 운영상의 문제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배터리사가 제시한 SOC 95%로 충전하던 중 전압이 뛰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했지만 지속적으로 같은 충전율로 ESS를 운영한 정황이 나타났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발맞춰 산업부는 우선 ESS 추가 안전대책을 내놓고 옥내설비는 80%, 옥외설비는 90%로 신규설비의 충전율 제한조치를 의무화했다. 기존 설비는 동일한 충전율로 하향토록 권고한다.

현재 설치 중인 소방시설의 효과성과 안전관리 기술 발전 등을 고려해 제한조치 시행 1년 후 충전율 운영범위를 재검토한다는 게 산업부 측의 설명이다.

이밖에도 산업부는 옥내설비의 옥외이전을 지원하고 사고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운영데이터 별도 보관을 지난해 6월 이전에 설치된 ESS에도 권고키로 했다.

◆배터리 업계는 결과에 반발…납득할 수 없는 논리=배터리 업계는 조사단 결과에 반발하고 나섰다.

업계 한 관계자는 “조사단 측에 그동안 수많은 소명자료를 제공했는데 하나도 받아들여지지 않은 결과”라고 꼬집었다.

업계는 ESS 설비 가운데 에너지를 갖고 있는 것은 배터리밖에 없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상황이 마련됐을 때 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되는 것일 뿐 배터리 자체를 화재의 원인으로 꼽을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화재현장이 아닌 곳의 배터리를 열어다가 이상이 발생했다고 하는 것 역시 납득할 수 없는 논리라는 입장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추정 내지는 판단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상 배터리를 원인으로 점찍고 있는 결과”라며 “다만 조사단 측에서 제시한 근거자료 등을 보면 현실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해외에서는 우리 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없는데 같은 제품을 써도 결과에 차이가 있다면 운영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