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4회 원안위 회의에서 중간 조사결과 발표
다른 시설이나 연구원 외부에서는 특이사항 발견되지 않아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자연증발시설 개념도. 정상적인 운전 경로는 1번부터 7번까지 순서대로 거치며 파란색 경로로 순환돼야 하지만 주황색 경로와 노란색 경로를 통해 오염수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자연증발시설 개념도. 정상적인 운전 경로는 1번부터 7번까지 순서대로 거치며 파란색 경로로 순환돼야 하지만 주황색 경로와 노란색 경로를 통해 오염수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방사성물질 방출사건은 시설운영자의 미숙함이 부른 사고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31일 개최된 제114회 회의를 통해 같은 달 21일부터 진행된 원자력연구원 방사성물질 방출사건에 대한 중간 조사결과를 사무처로부터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건조사팀의 중간 조사결과에 따르면 원자력연구원 내 사용후핵연료처리사업의 부속시설인 자연증발시설이 방사성물질 방출 근원지로 확인됐으며 시설운영자의 운영 미숙이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번에 방출된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시설은 자연증발시설 외에도 하나로, 조사후연료시험시설(PIEF),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RWTF) 등이 있으며 이 시설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조사에서는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

원안위는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자연증발시설 사용을 정지했고 자연증발시설 앞 맨홀 구역의 오염 토양을 제거하는 등을 통해 오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조치했다.

또한 오염수가 흐른 우수배관을 제염하고 폐기물관리계획 수립·이행하도록 했다.

원안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26일 원자력연구원은 자연증발시설의 오염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필터를 교체했고, 약 1시간 뒤 시설운영자는 오염수가 넘치는 상황을 인지했다.

넘친 오염수는 1층 기계실로 유입됐고 시설운영자는 유입된 오염수를 1층 준비실 배수구로 배수 처리했다.

배수 처리된 오염수는 건물 외부에 매설된 폴리염화비닐(PVC) 배관을 거쳐 우수관로를 통해 덕진천으로 방출된 것이다.

당시 시설운영자는 모든 배수가 지하 오염수 저장조로 수집된다고 오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건조사팀은 시설운영자가 필터 교체 이후 밸브 상태에 대한 점검 없이 자연증발시설을 가동해 오염수가 바닥으로 넘치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사건의 원인을 ‘시설운영자의 운영 미숙’으로 판단했다.

사건조사팀이 사건 당일 현장운영자와 지원인력 등 총 4명의 피폭 기록을 확인한 결과 오염되지 않았으며 원자력연구원 외부 하천(덕진천, 관평천, 갑천) 28개 지점의 방사능 농도는 주변 지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됐다.

이에 더해 사건조사팀은 이번 조사과정에서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약 50ℓ의 오염수가 유출돼 바닥배수 탱크로 흐르는 것을 확인했다.

사건조사팀은 지난 30년간 약 2년 주기로 총 13회 필터를 교체한 것을 고려하면 총 650ℓ가량의 오염수가 자연증발시설 외부로 배출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원안위는 앞으로 ▲방사능환경 정밀조사 결과 ▲자연증발시설 설비개선 방안 ▲재발방지 대책 등을 포함한 종합 결과보고를 발표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법령위반사항이 확인되는 경우 원자력연구원에 대한 행정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원자력연구원은 지난달 31일 사과문을 발표했다.

원자력연구원은 “1월 31일 원안위의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물질 방출사건 중간조사 결과 공개’ 발표와 관련해 시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재발 방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