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분야를 취재하다 보면 대학교 때 경영학을 전공하면서 배웠던 ‘분산투자’가 떠오를 때가 많다.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세먼지가 심할 땐 정책적으로 석탄화력을 세우고, 국제 가스가격이 비쌀 땐 시장원리에 의해 LNG 가동이 줄어든다.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해 원전의 가동이 멈출 수도 있고, 자연이 인류를 도와주지 않을 땐 신재생발전의 출력이 급격히 떨어지기도 한다.

결국 모든 발전원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분산투자’ 개념으로 에너지믹스를 구성해야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게 기자의 결론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3020’은 설비용량과는 다른 ‘발전량’ 개념이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이 20%가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발전원별 설비용량은 그대로 둔 채 재생에너지가 많이 발전할 수 있도록 시장제도와 정책을 개혁하는 방식으로도 재생에너지 3020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 정부는 시장제도와 정책은 그대로 둔 채 발전원별 설비용량 비율을 조정하려는 움직임만 계속해서 보이고 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설비가 액화천연가스(LNG)발전설비로 대체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노후 원전은 즉각 영구정지를 주문하면서 신규 원전 건설은 시간을 끌며 사업자가 먼저 포기하기를 기대하는 눈치다.

목표를 발전량으로 제시했다면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또한 발전량 위주의 대책이 나와야 함에도 정부는 발전설비용량을 조절해 발전량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원자력·석탄화력발전을 줄이고 LNG·신재생발전을 늘리려는 정부의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방법에는 동의할 수 없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