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스공사·가스안전공사 중심으로 수소 정책 수립
가스공사 수소위원회 참석, 가스안전공사 내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구 설치 등
가스공사·가스안전공사는 조직개편 통해 수소사업처·수소안전센터 신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를 추구하는 정부가 수소를 가스의 일종으로 분류하면서 한국가스공사가 ‘터닝 포인트’를 맞이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수소 관련 정책을 분석해보면 수소를 크게 가스의 범주 안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6일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가스설비를 점검·관리하는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전문성을 고려해 가스안전공사 내에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구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 3일 발표한 ‘제2차 가스안전관리기본계획’에서도 수소경제가 대두되면서 안전에 대한 국민 우려가 발생하고 있는 점을 새로운 과제로 언급하며 ‘수소경제 선도 안전기반 구축’을 4대 추진전략 중 하나로 제시했다.

수소가 가스의 범주 안에 들어오면서 가스공사도 ‘노를 젓기’ 시작했다.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지난 2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차 수소위원회 최고경영자(CEO) 정기총회에 참석해 글로벌 에너지기업들과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채 사장은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에너지 전환계획에 수소를 핵심 아이템으로 설정하고 보급 목표를 증가시키고 있다”며 “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적극적으로 부응해 미래 에너지 시대를 이끌어 나갈 수소산업 발전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가스공사는 지난 13일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1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도 가스안전공사와 함께 참석해 수소경제를 이끌어갈 주요 공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이보다 앞서 지난 1일 이뤄진 조직개편을 통해 수소사업처를 신설하는 등 ‘노를 저을’ 준비는 이미 마친 상태다.

수소가 가스로 분류되는 게 가스공사에 반가운 소식인 이유는 최근 발전사들의 액화천연가스(LNG) 직도입 확대로 고전을 면치 못하던 중 정부가 밀고 있는 수소경제를 이끌어갈 기회를 잡았기 때문이다.

LNG를 수입해 들여와 판매까지 전 과정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가스공사는 민간발전사를 중심으로 발전을 위한 LNG를 직접 수입하는 직도입이 확대되면서 기업의 생존이 걸린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LNG를 수입해 들여와 보관하고 가스배관 등 인프라를 관리하던 경험을 살려 수소 인프라 구축에 앞장선다면 직도입 때문에 축소된 것 이상의 역할을 수소를 통해 확대할 수 있다.

가스안전공사 역시 조직개편을 통해 수소 안전관리를 책임질 수소안전센터를 신설하는 등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수소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관리와 홍보에 역량을 집중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가스안전공사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