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호선 연장선에 민락역을 신설하라!”

지난 12일 의정부시 예술의전당에서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공사 기공식’이 열린 시점, 행사장 밖에서는 시민 30여명이 운집해 울분에 찬 목소리로 구호를 외쳤다. 이 집회는 행사를 찾은 대규모 인파와 대비돼 기묘한 장면을 연출했다. 착공을 축하하는 500여명 인파의 뜨거운 박수소리는 건물 밖 시민들의 외침과는 온도차가 컸다.

도봉산~옥정 구간을 잇는 전철 7호선 연장사업은 2007년 첫 논의가 시작돼 13년 만에 착공식에 도달한 지역 숙원사업이다. 착공에 이르기까지 기간이 길었던 만큼 사업과 관련해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문제는 이 목소리가 이제야 본궤도에 오른 사업에 어떻게 반영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미 노선을 확정하고 사업계획 승인만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노선이 변경될 수 있을까. 그게 아니라면 일부 시민들의 반발은 그대로 둔 채 사업을 속행하면 되는 것일까.

교통사업을 둘러싼 이해당사자간에 입장 차이가 발생하는 건 전혀 새로운 일이 아니다. 사업 추진 주체 측에서 보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기 위해 경제성을 높이다 보니 모든 이들의 의견을 반영하긴 어렵고, 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편의가 어느 정도로 증대될 것인가를 중심에 두고 결과를 평가할 수밖에 없다. 갈등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보다는 이후의 갈등 조정 과정이 중요한 까닭이다.

사업 계획이 수립되기까지 과정이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유되는 한편, 최대한 다수의 공감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 교통망 확충사업이 노선이 통과하는 일부 지역뿐만 아니라 지역 전체의 발전을 위한 것인 만큼 지자체 차원에서도 이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셔틀버스 등 연계 교통편 확대 정책도 참고할 만하다. 시민들의 교통편의 증진을 우선순위로 두면 보다 다양한 방안들이 도출될 수 있다.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덮어둔 지역 갈등은 훗날 더 큰 사회적 비용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해관계가 첨예한 교통사업에서 모든 이들이 웃을 수는 없다. 다만 사업에서 소외돼 우는 이들의 수는 지자체의 노력에 따라 충분히 줄어들 수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