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미래차 부품·소재·장비 산업 협력 강화 기반 마련
산업 현안 간담회 개최해 노동 및 생산성 중점 논의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오른쪽)이 베를린 독일자동차산업협회와의 LOI 체결에 앞서 별도 간담회를 갖고 양국 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오른쪽)이 베를린 독일자동차산업협회와의 LOI 체결에 앞서 별도 간담회를 갖고 양국 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정만기 협회장이 10일(현지시간) 베를린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사무소를 방문해 버나드 매츠 VDA 회장과 양국 자동차 업계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 협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양국 업계는 올해 주요국의 -5% 성장 등 자동차 수요 위축과 전기동력·자율주행차 개발 경쟁 격화 등의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양국간 무역액이 70억달러에 이른다”며 “한국은 반도체, 전지, 수소차 등에 강점이 있고 독일은 부품·소재, 특히 자동차용 시스템 반도체에서 두드러진다는 점을 감안해 산업기술 분야 협력도 강화해나가자”고 덧붙였다.

매츠 VDA 회장은 “글로벌 밸류체인에 기반한 자동차 산업에서 정기적 대화를 통해 매년 주요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 마련 등 상호 노력이 중요하다”며 “확산되는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대응 노력과 양국간 산업기술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양측은 이번 LOI 체결을 통해 양국의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정보 공유, 글로벌 현안 공동 대응체계 구축, 미래차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상호 노력을 경주해갈 계획이다.

한편 정 협회장은 LOI 체결식에 앞서 VDA 관계자들과 별도 간담회를 갖고 양국의 자동차 산업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VDA 측은 이 자리에서 독일 내 평균 근로자의 연령이 53세에 이르는 점을 감안해 4차 산업혁명 진전과 생산 시스템의 자동화, 디지털화, 전기동력차 등 미래차 시대로의 전환 등에 따른 노동력 구조조정을 해고보다는 조기 퇴직 인센티브 제공과 전직훈련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구조조정의 경우 노동자들의 적극적 협조 하에 이뤄지고 있으며 이들의 전직을 위한 교육훈련에 대해서도 정부와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언급했다.

KAMA 측은 우리나라의 경우 생산설비 확대와 노조협조 문제 등으로 인해 일부 차종은 1년 이상의 대기 수요가 발생한다고 설명하자, 이에 대해 VDA 측은 전기차 모델이 생산시설 확충 문제 등으로 몇달정도 대기수요가 발생하기는 하나 노조의 동의는 전혀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KAMA 측이 노동유연성 확보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경우 주당 52시간제의 엄격한 시행과 비정규직 파견 및 대체 근로의 원칙적 불법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소개하자, VDA 측은 독일에서도 주당 40시간 근로제가 시행되고 있으나 평생근로시간계좌제(Lifetime Working Account)와 계절노동자제도(Seasonal Workers) 등을 통해 고도의 노동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전했다.

생산성 제고와 관련해서는 우리 기업의 경우 대체로 자동차 1대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27시간 내외인 반면 독일 폭스바겐은 ‘골프’ 생산에는 평균 24시간 미만이 소요되지만 BMW 5시리즈나 7시리즈 등 공정 소요가 더 많은 차종에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면서 일률적인 비교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독일의 경우 스마트공장 구현 등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