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2년 5월 문을 닫을 예정이던 한국중부발전 보령 1·2호기를 17개월 빠른 내년 12월 폐지하겠다고 발표했다.

2021년 1월 폐지가 예정된 한국동서발전 호남 1·2호기를 포함하면 1500㎿ 설비용량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것이다.

이보다 앞서 폐지될 것으로 보이는 한국남동발전 삼천포 1·2호기 1120㎿를 포함한 2620㎿의 설비용량이 빠지는 것을 차치하더라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여러 정책이 상충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다.

발전소 폐지를 앞둔 발전사들은 폐지된 설비에서 근무하던 인원을 어떻게 분배할지를 놓고 고민에 빠진다.

그나마 공기업의 경우 인위적인 인원 감축 없이 버텨낼 수 있지만 협력업체의 경우 새로운 설비의 입찰을 따낸다는 보장이 없어 그야말로 풍전등화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신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될 LNG발전소는 동급 설비용량 기준 필요한 인력이 40~50% 수준이라고 한다.

제조사가 절대적인 권한을 갖는 가스터빈 정비시장에는 경상정비업체가 설 자리조차 없다.

청년취업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이런 변화는 청년들의 취업전선에 ‘이상’ 신호가 들어온 게 틀림없다.

사실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등 환경적인 요인 때문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은 순리다.

그러나 석탄화력발전소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속도도 순리의 일부분 아닐까.

석탄화력발전소의 최후를 미리 알고 대비할 시간을 갖는 것과 대비할 틈도 없이 등 떠밀려 사라져 버리는 것은 업계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과감한 탈석탄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정부는 동시에 석탄화력발전소 환경설비 개선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나마 지난 1일 발표된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에서 제9차 전력수급계획을 토대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환경설비 설치여부를 검토하겠다고 결정한 것은 다행이지만 정부 부처끼리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다.

이런 엇박자가 속도를 재촉한 탓에 순리를 거스르고 있기 때문이라면 지나친 억측일까.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