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준수요 전망 결과
정부의 전기차 보급목표↑, 반복되는 무더위로 인한 기후변동↑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17년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발표한 장기전력수요 전망치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상향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8차 수급계획에서 발표한 기준수요 전망치는 2031년 전력소비량 기준 675.4TWh, 최대전력수요(피크) 기준 114.9GW였다.

구체적인 수치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9차 수급계획 수립과정에서 전력 기준수요 전망치를 산출한 결과 2031년 기준수요 전망치에 큰 변동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새로 산출된 2031년 전력소비량 전망치는 2년 전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대전력수요 전망치는 2년 전의 전망보다 높아졌다.

설비용량이 최대전력수요 전망치보다 높게 유지돼야 하는 전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수급계획에 따른 발전설비가 기존의 계획보다 늘어나야 한다는 뜻이다.

기준수요 전망치가 기존의 예상보다 상향되는 주요 원인은 전기자동차 보급확대와 지난해 한반도를 덮친 기록적인 무더위로 꼽힌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국가 온실가스 감축 수정 로드맵’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전기차 300만대를 비롯해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겠고 밝혔다.

8차 수급계획에는 2030년 전후로 100만대의 전기차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하고 전력수요 전망치를 산출했다.

이때 반영된 전기차 100만대 분량의 최대전력수요가 0.3GW였던 점을 고려하면 8차 수급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전기차 200만대가 최대전력수요를 0.6GW 끌어올린다는 계산이 나온다.

게다가 8차 수급계획 수립 당시 ‘예측 불확실성’을 이유로 전력수요전망에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전기차 등 일부 요인만 반영했다.

산업부는 “차기 계획에서 4차 산업혁명 효과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물론 지난 2년간 전기차를 비롯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진보한 것을 고려하면 이 예상치는 변동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지만 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이 전력수요를 증가시킬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또한 지난해 한반도가 예상보다 강력한 무더위를 경험한 것도 전력수요전망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한다.

지난해 기록적인 무더위가 최대전력수요를 92.5GW까지 끌어올린 만큼 날씨와 직결되는 전력수요에도 보정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앞으로 산업부는 새로 산출된 기준수요 전망치에 수요관리 정책을 반영해 목표수요를 결정한 뒤 발전설비 진입·퇴출을 결정하게 된다.

기업과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의 양이 기존 전망보다 많아져 산업부가 이 상승분을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