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민 약 3만8000명 서명부 국가기후환경회의에 제출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와 울진군의회가 24일 서울 종로구 국가기후환경회의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장유덕 울진군의회 부의장(왼쪽 다섯 번째)이 발언을 하고 있다.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와 울진군의회가 24일 서울 종로구 국가기후환경회의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장유덕 울진군의회 부의장(왼쪽 다섯 번째)이 발언을 하고 있다.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와 울진군의회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원자력발전의 기여도와 필요성을 알리며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했다.

울진범대위와 군의회는 25일 서울 종로구 국가기후환경회의(위원장 반기문)를 방문해 신한울 3ㆍ4호기 건설재개를 촉구해달라는 내용으로 약 3만8000명 울진군민이 작성한 서명부를 전달하고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문제에 과거부터 원자력에너지가 기여한 바를 천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국가기후환경회의는 산업, 수송, 발전 등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고 국내외 미세먼지 문제를 범국가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사회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하에 도출해 정부에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4월 출범했다.

범대위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원자력발전은 석탄화력발전과 달리 미세먼지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임을 시사했다. 그러면서 “울진군이 지난 40여 년간 한울원전에 다수호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수용함으로써 대기 환경 조성에 일조했다”고 강조했다.

울진군에는 한울 1~6호기 등 6기의 가동원전을 운영 중이고 신한울 1·2호기 등 신규원전 2기의 가동을 앞두고 있다. 또 10여 년간의 주민 갈등 끝에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타결됐지만, 이 계획은 정권이 교체되면서 백지화됐다.

범대위는 “원전 의존도가 높은 지역 경제는 최악의 국면을 맞아 젊은이들은 하나둘씩 지역을 떠나고 빈 상가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며 “1980년대 당시 주민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강압적인 추진으로 원전을 수용했는데, 정권이 교체되면서 기존의 에너지 정책에 따른 건설 계획을 무효화하는 바람에 지금의 사태까지 오게 됐다”고 토로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사업은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이 됐고 2014년 제2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과 2015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유지돼왔다.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와 울진군의회가 24일 서울 종로구 국가기후환경회의에서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하는 울진군민의 서명부를 전달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홍상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 산업저감과장, 서흥원 사무처 저감정책국장, 김윤기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 장유덕 울진군의회 부의장, 김창오 울진군의회 의원.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와 울진군의회가 24일 서울 종로구 국가기후환경회의에서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하는 울진군민의 서명부를 전달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홍상 국가기후환경회의 사무처 산업저감과장, 서흥원 사무처 저감정책국장, 김윤기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 장유덕 울진군의회 부의장, 김창오 울진군의회 의원.
범대위는 “일반·방사선 환경영향평가 공청회를 거쳐 2017년 2월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다”며 “실시계획·건설허가를 심사 중인 사업으로, 그동안 울진군민과 충분한 협의를 바탕으로 상호신뢰에 입각해 진행하기로 한 대규모 국책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울진군민은 정부 정책 일관성 원칙에 입각해 신한울 3·4호기 건설 약속의 즉각적인 이행을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기후환경회의는 소수의 이해관계자나 정치적 신념·기득권을 넘어 사회적 합리성과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해 중립성을 가장 큰 뜻으로 섬기며 소통해야 한다”며 “결단코 정치적 바람에 흔들려 백년대계인 환경문제를 졸속으로 처리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일침했다.

장유덕 울진군의회 부의장은 “울진군 내에 신규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근거 없이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발전원은 원자력이고 원전산업 중 최우선 과제인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촉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부의장은 “과거부터 원전이 미세먼지 배출 없이 대기 환경을 유지하면서 전력생산에 기여한 바를 재증명할 필요가 있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 통계 자료 수집과 분석이 필요한데 자료도 과거에 대한 분석도 없이 미래 계획만 세우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