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설립 문제가 정치권이 싸울 정도의 사안이 되는지 의문이다. 한전이 감당해야할 비용 1조 6000억원 문제와 함께 학생이 줄어들어 학교 운영이 힘들어질 수밖에 없는 현재 대학들이 처한 현실에서 한전공대가 굳이 필요 없다는 것이 반대의 논리다.

비용부터 따져보자. 한전공대의 설립·운영비를 보면 설립비는 올해부터 2031년까지 1조471억원이 소요된다. 부영주택이 무상으로 제공한 부지상당액 1670억원을 제외하면 8801억원이다. 운영비는 올해부터 2031년까지 564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계산된다. 올해부터 2031년 성장기 까지 투자・운영비는 1조6112억원으로 추정된다. 전체 설립·운영 예산중 한전이 부담할 비용은 설립비 6210억원(2019~2025년), 운영비 연간 641억원 이다. 실제 1조 6000억원이란 비용은 일시불이 아닌 앞으로 12년간 분담해야 하는 돈이 대부분이다.

저출산으로 대학 입시생이 급감해 2020년을 기점으로 대학 정원과 입시생수가 역전된다. 또 GIST(광주), KAIST(대전), 포스텍(포항), DGIST(대구), UNIST(울산) 등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서 훌륭한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는데 에너지특화대학을 만들면 기존 재학생을 차별하고 무시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 있다. 적절한 지적일 수 있다. 이미 대학이 차고 넘치는데 굳이 대학을 설립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은 누구나 갖는다. 하지만 경쟁력을 보면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대학 경쟁력은 국가 경쟁력 보다 낮다. 국제경영개발대학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국가 경쟁력이 29위인데 대학교육 경쟁력은 53위로 처져 있다. 또 일반화된 대학이 아닌 전문화된 대학의 필요성은 산업계의 요구다. 특정 기업과 연계해 학과를 개설하는 대학도 있고 맞춤형 교육을 하는 대학도 있다. 시대의 요구가 일반적인 대학이 아닌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을 원하고 있고 또 졸업과 동시에 현장에서 활용할수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에너지산업은 전환기를 맞으며 각국은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또 에너지의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장과 산업이 만들어지고 있다. 세계적인 기업들이 에너지시장에 뛰어들면서 에너지와 IoT,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 융복합형 인재를 찾고 있다.

또 한전공대는 지역과 협력해 기업이 참여하는 오픈형 대학을 표방한다.

한전과 전남도 등 지자체는 협업을 통해 한전공대를 혁신적 모델로 계획하고 있다. 특정 분야에 특화해 경쟁력을 갖춘 미국의 올린공대나 스웨덴의 말뫼공대가 모델이 될 수 있다.

‘설립비용과 인구가 감소하는데 왜 대학이 필요한가’라는 두 가지 팩트에서 벗어나 한전공대가 추구하는 방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먼저 있어야 정확한 비판이 가능해진다. 설립계획은 타당한지, 올해 하반기 학교법인 설립 과 총장후보자 선임, 2020년 하반기 착공에 이어 2022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은 무리가 없는지 등 따져볼게 많다. 1조 6000억원이란 비용에 눈이 가려 대학설립 과정에서 정확히 짚어야할 것들은 놓치고 있지 않은지 돌아봐야 한다.

이미 부지가 결정됐고 예산이 확정됐다면 이제는 과정에서 실수는 없는지 타당한지로 눈을 돌려야 한다. 그래야 한전공대가 성공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