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산업에 있어서의 글로벌 트렌드는 일명 3D로 요약된다. 탈탄소화(Decarboniz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분산화(Decentralization)가 그것이다. 글로벌 전력 유틸리티와 전력 규제당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접목으로 효율 개선·비용 절감을 추진하고 있고 분산전원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발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의 204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35% 천명 등을 통해 탈탄소화는 착착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 IT 강국으로서 전력망 운영, 수요예측 등에서 4차 산업혁명 기반의 IT플랫폼도 구현해 나가고 있다.

반면 구체적인 추진전략 부족으로 분산전원의 확대는 미진한 편이다.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17년 12%에 불과한 분산형 전원 발전량 비중을 2040년까지 30%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내년까지 ’중장기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로드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분산형 전원으로서 연료전지, 재생에너지는 확대될 전망이지만, 대표적 분산형 전원인 집단에너지 신규사업 수요는 부족하고 상용 자가발전 보급은 2015년 7.9TWh에서 2017년 6.4TWh로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연료전지는 주민반대로 확대가 만만치 않으며 재생에너지는 계획입지를 통한 대규모 단지로 추진되면서 오히려 분산형 전원에서 멀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분산형 전원을 어떻게 확대할 것인가?

대규모 LNG 자가발전소의 확대가 유력한 방안일 것이다. 만약 공정용 열 수요도 있다면 효율이 최대 56.1%에 불과한 LNG 복합화력보다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시 효율이 80.7%에 달하는 LNG 열병합발전소를 짓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러한 자가 LNG 열병합발전은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첫째, 국가전체적인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줄임으로써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최신 LNG 열병합발전소는 열과 전기를 따로 생산하는 것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28.1%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는 61.0%, 2차 생성 미세먼지의 원인물질인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은 98.1%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나아가 에너지 수입을 줄임으로써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수요지에 입지하므로 송전망이 필요없다. 과거 우리는 밀양 송전탑 갈등을 겪었지만 아직도 안성·평택의 송전선 갈등, 동해안-신가평 송전선 갈등 등 송전망 건설을 둘러싸고 다양한 갈등을 겪고 있는데 자가발전은 이러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송전과정에서 아깝게 손실되는 전기도 없게 된다. 더 나아가 미국 오크릿지 국립연구소에 따르면 계통운영비용, 송전시스템 업그레이드비용, 배전시스템비용까지도 줄일 수 있다.

셋째, 피크수요를 줄임으로써 전력계통 안정화에도 기여한다. 자가발전량은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수요로 잡히지 않아 한전의 공급 대상이 아니며 공급설비를 계획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자가발전은 피크수요를 실질적으로 낮추게 돼 전력수급의 여유를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넷째, 정전과 같은 유사상황에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필요시 전력 역송을 통해 지역에 비상 전력까지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3년 8월 14일 북미에서 대정전이 발생했는데 계통연결 전력이 꼭 필요한 일부 시설을 제외한 대부분의 열병합발전은 정상 가동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미국 환경청은 이 가치를 30달러/kWh 또는 연간 113달러/kW로 산정한 바 있다.

전기를 대량으로 소비하면서 공정용 열에 대한 수요가 있는 산업체는 이상의 장점 달성을 위한 사회적 책무를 위해 LNG 자가 열병합발전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정부는 수요지에 LNG 자가 열병합발전을 배치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모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국이 효율 70% 이상의 열병합발전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세를 면제하듯이 자가 열병합발전용 LNG에 대해서는 개별소비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산업단지 열병합발전용 유연탄에 대해 개별소비세를 면세하는 것과도 형평성이 맞을 것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