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에너지 시장 지속성장... 글로벌 인재 육성 시급
한전공대, 공기업 지자체 협력 글로컬 에너지대학으로 키워야

한전공대 설립을 둘러싼 논란의 핵심은 학교 설립 자체의 이슈 보다는 에너지전환 등 에너지정책과 연계한 정책실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전공대 설립을 두고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는 부분은 설립 비용과 운영 비용이다. 에너지전환 때문에 막대한 영업 손실을 입은 한전이 이 비용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이 문제에 대한 고민은 설립 계획수립 당시부터 내부적으로도 논의된 사안으로 균형위 주관 한전공대설립지원위원회에서 개교까지는 한전이 부담하고 개교 이후는 정부와 지자체도 분담하는 것으로 확정했으며 주체별 분담금액은 향후 논의하기로 했다.

한전공대의 설립·운영비를 보면 설립비는 올해부터 2031년까지 1조471억원이 소요된다. 부영주택이 무상으로 제공한 부지상당액 1670억원을 제외하면 8801억원이다. 운영비는 올해부터 2031년까지 5641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계산된다. 올해부터 2031년 성장기 까지 투자・운영비는 1조6112억원으로 추정된다. 전체 설립·운영 예산중 한전이 부담할 비용은 설립비 6210억원(2019~2015년), 운영비 연간 641억원 등이다. 한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재정 여건이 열악할 상황에서도 전남도와 나주시는 향후 10년간 대학발전기금 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그동안 마땅한 성장동력을 찾지 못했던 전남지역을 에너지 클러스터와 결합해 세계적인 에너지분야 연구개발(R&D) 메카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한전의 운영예산 지원과 관련해 연매출 65조원의 포스코는 포스텍(학생 3582명)에 연간 2029억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매출 60조의 한전이 한전공대(학생 1000명)에 연간 641억원의 운영비를 지원하는 것이 많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볼 대목이다.

또 대학 입학정원이 부족한데 학교를 설립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있다. 내년 대학입시는 대학 입학 정원보다 수험생이 적은 첫해다. 내년도 대입 가능자원은 47만9000여명인데 비해 지난해 기준 대학입학 정원은 49만7000여명으로 2만여명 많다. 이런 상황에서 새롭게 대학을 설립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에너지산업은 전환기를 맞으며 모든 국가에서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또 에너지의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장과 산업이 만들어지고 있다. 세계적인 기업들이 에너지시장에 뛰어들면서 에너지와 IoT,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 융복합형 인재를 찾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시장의 변화는 세계적인 흐름이며 에너지전환이란 과정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활발히 만들어지고 있다.

2018년 IEA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에너지신시장은 2030년까지 약 3경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도 국가의 혁신성장을 선도할 8대 산업 중 하나로 ‘에너지 신산업’을 꼽고 있다. 반도체·정보통신 등에 이어 국가 미래 먹거리로 부각된 상태다. 하지만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에너지 분야 기술격차는 약 4.5년으로 시장선점을 위해서는 격차해소가 시급하다.

국내시장은 한전 독점구조로 인해 다소 경직돼 있지만 에너지 시장에서 기업의 경쟁은 치열해졌으며 기업간 벽도 허물어졌다. 테슬라, 구글 등 혁신적인 기업이 에너지산업에 뛰어든 것은 물론 전통적인 유틸리티도 업역 전환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국내도 여건이 비슷해 10대 대기업 대부분이 에너지 분야 또는 연관 산업에 진출해 국내외시장을 활발히 개척하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ESS)산업을 이끌고 있는 배터리 분야는 반도체를 이을 새로운 수출 유망산업으로 발돋움했으며 전기차, 재생에너지 분야는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했다.

한전 관계자는 “세계적인 컨설팅 업체인 AT커니의 한전공대 설립 타당성 분석 결과‘세계적 수준의 에너지 특화대학 설립 필요성이 높다’는 것이었다”며 “한전공대 설립 시 국가 에너지 R&D 경쟁력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과 국가균형발전 촉매 역할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있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