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관련...과감한 탈석탄 정책으로 대체 건설 많을 듯
발전공기업 ‘남느냐, 떠나느냐' 고심 중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건설된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의 대체 건설을 위한 부지 결정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지난 6월 각 발전공기업에 공문을 보내 석탄화력발전소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의향 조사에 돌입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올해부터 2033년까지의 중장기 전력수급계획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번 9차 수급계획에서는 1990년대부터 들어서기 시작한 50만㎾급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의 운명이 판가름 날 전망이다.

정부는 앞으로 석탄화력발전소가 30년이 되는 시기에 맞춰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으며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도 석탄화력발전소를 ‘과감하게’ 감축하겠다는 의견을 수차례 밝혔다.

정부가 ‘탈석탄’ 드라이브를 강력하게 걸고 있는 가운데 발전공기업들은 보유한 표준석탄발전소가 30년이 되는 시점에 맞춰 LNG발전소로 대체하겠다는 의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발전사들은 대체 발전소를 어디에 지을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우선 폐지하는 석탄화력발전소 부지를 이용해 대체 발전소를 건설하는 게 가장 무난하고 일반적인 방안이다.

계통 등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하면 건설비용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소를 LNG발전소로 바꾸는 것에 대한 주민 반대도 거세지 않기 때문이다.

발전소 건설사업은 주민 반대로 인해 사업이 무산되는 경우가 많고 민원이 가장 적어 정부가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안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가동 중인 발전소를 철거하지 않은 채 새로운 발전소를 건설할 유휴부지를 마련해야 한다는 게 부담이다.

석탄화력발전소가 30년 이후에도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오는 가운데 대체 발전소가 건설된 이후 부지 확보를 위해 폐지된 발전소를 철거해야 한다는 것도 부담이다.

새로운 부지를 찾아 건설하는 방안도 있다.

LNG발전소는 석탄화력발전소보다 입지 제한이 없는 편이기 때문에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유인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또한 최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직장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떠오르면서 직원들의 정주 여건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됐기 때문에 외진 곳에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직원들을 도시 생활권으로 편입시킬 수 있다는 것은 충분한 유인 동기가 된다.

또한 휴지보존을 이용해 여름철이나 겨울철 전력수요가 많을 때만 가동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예산 차원에서 계통연결을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무엇보다도 주민 반대 여부에 따라 사업의 불안정성이 크다는 게 치명적인 단점으로 거론된다.

마지막으로 같은 발전사가 소유한 다른 발전소 부지에 대체 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기업도 있다.

이 경우 이미 확보된 유휴부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폐지된 발전소의 휴지보존이 가능하다는 점, 계통 등 과거에 사용하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주민 반대 문제가 불거질 수 있고 지역별 계통 상황 등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아진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번 의향 조사를 통해 각 발전공기업이 처한 상황과 추구하는 전략에 따라 다양한 경우의 수가 등장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