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에서 무인항공기 ‘드론’이 보안 문제로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심층 방어를 통해 원전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드론이 보급화하면서 접근이 어려운 지역까지도 보안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생겼다. 그러면서 1급 국가보안시설인 원전 지역이 문제가 됐다.

20일 부산시 기장군 소재 고리원전에서 3.9㎞ 떨어진 지역에서 드론을 날린 40대 남성이 경찰에 적발되는 사례가 있었다.

고리원전은 항만·공항과 같이 국가보안시설 '가' 등급에 해당한다. 따라서 반경 18㎞ 내 비행체 운행은 금지 사항이다.

또 일부 언론에 따르면 2016년 이후 고리·영광원전에서는 3차례에 걸쳐 드론이 출몰하는 등 방호 체계가 부실했던 것이 여실히 드러나기도 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원자력 비영리단체 NEI(Nuclear Energy Institute)가 지난해 게재한 ‘미국 원자력 발전소가 드론으로부터 안전한 4가지 이유(4 Reasons U.S. Nuclear Power Plants Are Safe from Drones)’라는 글이 현재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NEI는 미국 원전이 안전한 보안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고 전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심층 방어(Defense-in-depth)’라고 불리는 다양한 방법의 다중 보안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NEI에 따르면 지난 2001년 9월 11일 911 테러 이후 미국은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명령에 따라 항공기 충돌에 대처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 마련 등 각종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또 평가를 시행한 결과, 원전이 넓은 차체의 항공기에 의한 충격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됐다.

NEI 측은 “미국 원전은 이 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구조물 중 하나”라며 “고강도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격납건물은 4~6피트(약 120~180㎝)의 두께로 강철 라이너로 돼 있고 외부 대기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도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바닥, 벽, 지붕을 가지고 있다”며 “지붕 두께가 20인치(약 50㎝) 이상이고 강철 트러스 시스템으로 지탱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포괄적인 방어전략을 철저히 시험한다. NRC는 원전의 물리적 보안, 보호 전략, 비상 대응으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평가한다. NEI는 이런 평가를 통해 원전 현장이 물리적 위협으로부터 일관성 있게 보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NEI는 “미국의 모든 원전 시설은 의심스러운 항공기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갖추고 있다”며 “미확인 물체가 발견되면 그 활동을 미국 연방 항공국, FBI, 현지 법 집행 기관, NRC 운영 센터 등에 일괄적으로 보고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