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 후기의 거상 임상옥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일화들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국경지대에서 인삼무역권을 독점하고, 천재적인 사업수완을 발휘한 일화는 유명하다 .

내용은 이렇다.

임상옥은 조선과 청나라의 인삼 무역을 독점했는데, 하루는 청나라 상인들이 “조선의 인삼은 가격이 너무 비싸다”며 “가격을 낮춰주지 않으면 인삼을 구매하지 않겠다(不買同盟)”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그러자 임상옥은 “이는 청나라 상인들이 가격을 낮추기 위한 음모”라고 규정하고, “조선의 혼이 담긴 인삼을 헐값에 파느니 차라리 모조리 없애버리겠다”며 인삼을 불에 태워버렸다.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청나라 상인들은 유일한 인삼 공급처인 조선의 인삼이 모두 불에 탈 것을 우려해 결국 근당 50냥까지 떨어졌던 인삼 값을 200냥에 사갔다.

이는 무역 과정에서 벌어진 일방의 탈법적 행위를 강공(强攻)으로 극복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2. 최근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로 촉발된 한일 양국 간 무역전쟁의 대응방식을 놓고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한국의 백색국가에서 일본을 제외하는 전략물자 수출입 고시개정을 추진하는 등 대(對) 일본 수출규제 등을 예고대로 진행하며 ‘맞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자유한국당을 중심으로 한 야당은 여전히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만을 주문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갈등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불만을 품은 일본 정부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 때문에 사태 해결도 야당이 주장하는 ‘외교적 노력’을 통한 ‘봉합식 해법’보다 다소 피해가 불가피하더라도 이번 기회에 문제를 짚고 넘어가는‘근본적 해법’이 장기적으로 더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삼성전자의 행보는 그래서 눈에 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규제를 발표한지 며칠 지나지 않은 지난 7월 7일 5박 6일 간 일본을 방문하고 돌아와 곧장 주요 소재의 ‘국산화’지원에 나섰다. 덕분에 일본의 수출 규제를 받고 있는 고순도 불화수소·플루오린폴리이미드·포토레지스트 등 3대 핵심 소재 중 포토레지스트를 제외한 두 소재는 연내 국산화와 함께 일부는 이미 실제 공정에 투입,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우리나라의 행보를 보면 청나라 상인들에 맞서 인삼을 태워버린 임상옥의 배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정부의 단호한 대응방침, 일본에 의존했던 부품·소재를 국산화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 민간의 자발적인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일본여행 안가기 운동은 임상옥의 행동처럼 상대를 굴복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확실한 것은 이번 갈등이 연간 100조원 이상 교역하는 양국 모두에게 피해를 입히는 ‘승자없는 게임’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만큼은 한국의 약점을 노린 일본의 야비한 수출규제에 정면으로 맞서는 확실한 강공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