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설비 제조와 시공을 담당하는 A사는 지난 7월 19일 태양광 100kW 설비에 연계된 ESS 설비의 사용전검사를 통과했다. A사 관계자는 “강화된 검사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화재 방지와 성능 보증 기준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ESS EPC 전문기업 B사는 지난달 25일 경북 문경에서 500kW 태양광 설비와 연계된 ESS 설비의 사용전검사를 받았다. B사 역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월 ESS 사고원인 조사 결과와 함께 발표한 안전강화 대책을 따르기 위해 까다로운 시공 절차를 밟았다.

ESS 화재 사태를 겪은 태양광 연계 ESS 시장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화재로 잠시 주춤했던 ESS 사업을 다시 활발하게 벌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다.

최근 태양광 업계에서는 태양광 연계 ESS 사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 지난 6월 발표된 산업부 ESS 안전강화 대책에 따라 강화된 시공기준에 맞춰 설비 시공이 이뤄지면서다. 한 ESS EPC사 관계자는 “대책 발표 전과 비교해 시공 기준이 훨씬 엄격해졌다”며 “대책 전 기준의 강도를 1로 둔다면 지금은 8쯤 된다”고 말했다. 바뀐 규정을 따라가다 보니 시공사의 설치 비용 역시 높아졌다. 금융 대출 기준도 까다로워져 PF를 받는 것도 전보다 어렵다. 이에 대해 또 다른 관계사 ESS 설치 담당자는 “시공과 관련한 여러 기준이 깐깐해졌고 보험요율도 높아져 대기업이나 실적이 많은 기업을 제외하곤 시공 장벽이 높아진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체들은 잠시 고비를 맞았던 ESS 사업을 다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다. 가장 큰 유인은 태양광 연계 ESS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다. 산업부는 지난 6월 11일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내년 6월까지 REC 가중치를 5.0으로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계획대로라면 가중치 5.0은 올해까지만 유지됐어야 했다.

이에 따른 시장의 분위기는 ‘반반’이라는 게 업계의 총평이다. 가중치 5.0으로 전력 생산의 약 5배에 달하는 ESS분 소득을 올릴 수 있으니 설치를 탐내는 사업자도 있고, 반대로 여전히 화재 위험부담과 REC 현물 가격 하락으로 인한 태양광 사업 자체의 수익성을 보수적으로 보는 사업자들도 있다는 것이다.

ESS 사업자들은 안전 시공을 내세워 기존 태양광 발전사업자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신규 예비 태양광 사업자가 아닌 태양광 발전단지 소유주들을 잠재고객으로 설정하고 ESS 설치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다. 일부 태양광 기업은 ESS 사업 관련 설명회를 열고 ESS 사업 수익과 사업 전략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국 전역에 걸친 영업조직망 형성에도 공을 들이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사용전검사 절차가 1차, 2차로 나뉘며 더 까다로워졌지만 그만큼 안전에 신경을 쓴다는 의미도 되지 않겠냐"면서 "ESS에 관심을 보이는 사업자들은 여전히 있기 때문에 가중치 5.0 혜택이 있는 내년 상반기까지 ESS 사업 자체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