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버터·12V급 계전기·바이메탈류 개폐기 등 의존도 비교적 높아
기술 자립·수입선 다변화 전략 필요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확산될지 여부에 전기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부산신항 모습.(제공: 연합뉴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가 확산될지 여부에 전기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부산신항 모습.(제공: 연합뉴스)

일본이 지난 4일부터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일부 핵심 소재의 수출 규제를 단행하는 등 일종의 경제보복에 나선 가운데 전기·에너지업계도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중전기나 이차전지 등 전기·에너지 관련 부품·소재는 향후 일본의 수출 규제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점쳐지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일본과의 교역은 일정부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병일 전기산업진흥회 상무는 “일본이 전략물자의 수출 절차를 간소화해주는 ‘화이트리스트’에서 우리나라를 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전기·에너지업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전략물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도 “무역충돌이 장기화될 경우 일본과의 교역은 어느 정도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 업계에서 대일 수입 의존도가 비교적 높은 부품·소재는 인버터, 12V급 계전기, 바이메탈(Bi-Metal)류 개폐기 등이다. 모두 전략물자에는 포함되지 않는 품목들이다.

인버터는 세계적으로 일본 기업들이 시장의 35%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국내에선 스위칭 소자나 캐패시터, 시스템반도체 등을 국산화 또는 외산으로 혼용하고 있다.

특히 발전설비용 고압 인버터는 유럽산에 비해 일본산의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대일 수입 규모는 1억100만달러 정도로 일본 의존도는 25.9% 수준이다.

12V급 계전기는 전기회로 한쪽에서 신호를 만들어 다른 쪽 회로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 전장품 등에 쓰인다. 국산 기술과 가격 경쟁력이 확보된 품목으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대일 수입은 1500만달러 규모로, 일본 의존도는 14.9% 정도다.

바이메탈(Bi-Metal)류 개폐기는 개폐기와 자동차단기용 원자재로 히타치나 미쓰비시 등 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80%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부품이다.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품목이다. 지난해 대일 수입 규모는 4억2100만달러 정도로 일본 의존도는 20.5% 수준이다.

만약 일본이 이들 품목에 대한 수출을 제한할 경우, 수급 악화가 가장 우려되는 것은 바이메탈(Bi-Metal)류 개폐기다. 국내 재고량과 생산량을 감안할 때 약 3개월이 지나면 생산에 일정수준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파악된다.

박 상무는 “일부 고정밀 부품·소재의 경우 일본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수입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하되 특정국가 수입의존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유럽이나 대만 등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국산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상석 일진전기 본부장은 “앞으로 일본 부품의 수입이 어려워진다 해도 실제 중전기 사업에 지장을 줄 가능성은 매우 낮다”면서 “이미 국내 생산이 가능한 품목도 많고 대만이나 유럽 등 수입선도 다양해 전체적으로 일본 의존도는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